정권이 교체됐으나 이명박 정부가 나아가는 데 브레이크를 거는 요인들은 아직도 남아 있다.

내가 고민하는 일곱 가지 걱정이 있는데,우선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 큰 문제다.

매년 신규 일자리를 최소한 30만개 정도 창출해야 하는데 지금은 19만개를 만드는 데 그치고 있다.

제조업에서 일자리가 매년 줄어들고 의료 법률 등 서비스 산업은 여전히 취약하다.

지난달 말 창업절차 간소화방안을 발표하고 상법상 최저자본금 제도,유사상호 금지 제도를 폐지한 것도 일자리를 더 만들기 위해서다.

지난 금요일(23일)에는 경제자유구역 활성화 조치를 내놨다.

투자를 활성화하고 규제를 개혁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

성장 동력을 어떻게 확보해서 먹거리 문제를 해결할 것이냐 하는 것도 정말 중요한 과제다.

주력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하고 신성장산업을 우리의 주력산업에 편입하고 연구개발(R&D)을 산업화하는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한다.

세 번째는 에너지자원 확보 문제다.

지식경제부가 이명박 대통령으로부터 질책을 받은 업무가 에너지 문제였다.

이 부분에 대한 장기적인 준비가 부족했다.

지금은 에너지자원을 어떻게 확보할 것이냐에 신경쓰고 움직이고 있다.

상투를 잡는 것 아니냐는 점에 대해서도 돌아보고 있다.

할 수 있는 한 에너지를 절약하고 자원을 확보하는 방안을 만들고 있다.

원전붐이 세계적으로 다시 일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원전을 해외로 수출한 경험은 없지만 국내에서는 성공적으로 안전하게 운영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다.

발전량 기준 원전 비중을 지금의 36%에서 좀 더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방폐장 문제도 같이 곁들이겠다.

국제유가 200달러 시대가 올 것이라는 개념으로 준비하겠다.

네 번째는 국제수지 문제다.

국제수지 방어라는 표현을 많이 쓰는데,올해 경상수지는 적자를 내는 것이 거의 틀림없다.

무역수지까지 적자가 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무역 인프라를 어떻게 잘 해줄 것인지,중소기업들을 어떻게 활발하게 도와줄 것인가를 생각하고 있다.

중소기업 문제도 걱정이다.

9988이라는 얘기가 있는데,국내 기업의 99%가 중소기업이고 근로자의 88%가 중소기업에서 일하고 있다는 뜻이다.

대다수 중소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춰야 우리 경제가 발전할 수 있다.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이노베이션 코리아 운동을 전개하겠다.

지방 경제도 걱정이다.

고속철도가 개통된 이후 서울로 역류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하반기쯤 광역경제권 중심의 지역발전전략을 발표하려 한다.

지방정부에 더 많은 주도권을 주겠다.

시·도를 뛰어넘는 광역경제권으로 만들어 수도권과 지방의 동반 발전으로 목표로 잡고 있다.

지방 경제권을 광역경제권으로 발전시키는 청사진을 보여준 다음 수도권 규제문제를 점차적으로 손대겠다.

조직 문제는 공기업 민영화 문제가 핵심이다.

민영화와 효율화,유사기능 통합 등 세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다.

가능한한 민간이 할 수 있도록 하겠다. 하지만 무리하게 세몰이할 생각은 없다.

노조와 상의하고 국민의견을 듣고 처리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