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라이어티 '그린 쇼'…이번주 국내외 골프대회 7개나 열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번 주 국내외에서 남·녀 골프대회가 다양하게 열린다.
한국(계) 선수들은 국내는 물론 일본 미국 등지의 모두 7개 대회에서 정상에 도전한다.
국내에서는 금호아시아나오픈과 힐스테이트서경오픈이,미국에서는 메모리얼토너먼트와 긴트리뷰트오픈이,일본에서는 미쓰비시다이아몬드컵과 코사이도레이디스컵대회가 치러진다.
미셸 위(19)도 유럽여자골프투어 독일오픈에 출전한다.
이번 주 관전 포인트는 두 가지다.
◆최경주,연속 커트탈락 부진 벗어날까
세계랭킹 8위 최경주(나이키골프·사진)는 3주 전 플레이어스챔피언십에 이어 지난주 크라운플라자 인비테이셔널에서도 커트탈락했다.
두 대회에서는 '노 버디' 라운드도 있었다.
지난 4월 첫주 셸휴스턴오픈 4라운드부터 9라운드 연속 60타대 스코어를 내지 못하고 있다.
최경주가 메모리얼토너먼트에서 뉴스의 초점이 되는 것은 '디펜딩 챔피언'이라는 점.
최경주는 지난해 잭 니클로스가 주최하는 이 대회에서 우승하면서 세계랭킹 20위권에 진입했다.
타이거 우즈가 출전한 대회에서 우승한 것도 작년 이 대회가 처음이었다.
올해는 우즈가 무릎 수술로 인한 재활 때문에 나오지 않지만,최근 상승세인 필 미켈슨과 세르히오 가르시아를 비롯 어니 엘스,짐 퓨릭,지오프 오길비 등 강호들이 출전해 치열한 우승 다툼을 벌일 전망이다.
최경주가 부진에서 벗어나 타이틀을 방어할수 있을지 주목된다.
◆아시아나CC에서 '베테랑 우승' 전통 이어질까
한국프로골프 금호아시아나오픈(총상금 5억원)이 29일 아시아나CC 동코스(파72)에서 열린다.
이곳 총길이는 6800야드로 남자대회 코스로는 아주 짧은 편이다.
그 대신 페어웨이가 좁고 그린이 까다롭다.
그런 곳에서는 힘을 앞세운 신예보다 경험 많은 노장들이 유리하다.
올해 4회째인 이 대회 역대 챔피언 가운데 장익제(35)만 30대 초반에 우승컵을 들어올렸을 뿐 2년 전 신용진(44)이나 지난해 박남신(49)은 40대에 정상에 올랐다.
지난주 이 코스와 유사한 레이크힐스오픈에서 53세의 최상호가 선전한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최상호 박남신 최광수 신용진 김종덕으로 대표되는 베테랑 선수들과 김경태 강경남 김형성 배상문 홍순상 등을 필두로 한 20대 신세대 선수들의 우승 대결이 관심거리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
한국(계) 선수들은 국내는 물론 일본 미국 등지의 모두 7개 대회에서 정상에 도전한다.
국내에서는 금호아시아나오픈과 힐스테이트서경오픈이,미국에서는 메모리얼토너먼트와 긴트리뷰트오픈이,일본에서는 미쓰비시다이아몬드컵과 코사이도레이디스컵대회가 치러진다.
미셸 위(19)도 유럽여자골프투어 독일오픈에 출전한다.
이번 주 관전 포인트는 두 가지다.
◆최경주,연속 커트탈락 부진 벗어날까
세계랭킹 8위 최경주(나이키골프·사진)는 3주 전 플레이어스챔피언십에 이어 지난주 크라운플라자 인비테이셔널에서도 커트탈락했다.
두 대회에서는 '노 버디' 라운드도 있었다.
지난 4월 첫주 셸휴스턴오픈 4라운드부터 9라운드 연속 60타대 스코어를 내지 못하고 있다.
최경주가 메모리얼토너먼트에서 뉴스의 초점이 되는 것은 '디펜딩 챔피언'이라는 점.
최경주는 지난해 잭 니클로스가 주최하는 이 대회에서 우승하면서 세계랭킹 20위권에 진입했다.
타이거 우즈가 출전한 대회에서 우승한 것도 작년 이 대회가 처음이었다.
올해는 우즈가 무릎 수술로 인한 재활 때문에 나오지 않지만,최근 상승세인 필 미켈슨과 세르히오 가르시아를 비롯 어니 엘스,짐 퓨릭,지오프 오길비 등 강호들이 출전해 치열한 우승 다툼을 벌일 전망이다.
최경주가 부진에서 벗어나 타이틀을 방어할수 있을지 주목된다.
◆아시아나CC에서 '베테랑 우승' 전통 이어질까
한국프로골프 금호아시아나오픈(총상금 5억원)이 29일 아시아나CC 동코스(파72)에서 열린다.
이곳 총길이는 6800야드로 남자대회 코스로는 아주 짧은 편이다.
그 대신 페어웨이가 좁고 그린이 까다롭다.
그런 곳에서는 힘을 앞세운 신예보다 경험 많은 노장들이 유리하다.
올해 4회째인 이 대회 역대 챔피언 가운데 장익제(35)만 30대 초반에 우승컵을 들어올렸을 뿐 2년 전 신용진(44)이나 지난해 박남신(49)은 40대에 정상에 올랐다.
지난주 이 코스와 유사한 레이크힐스오픈에서 53세의 최상호가 선전한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최상호 박남신 최광수 신용진 김종덕으로 대표되는 베테랑 선수들과 김경태 강경남 김형성 배상문 홍순상 등을 필두로 한 20대 신세대 선수들의 우승 대결이 관심거리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