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 PB 자산관리 서비스 'profit' 출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투자증권은 29일 신개념 PB 자산관리서비스 'profit'를 오는 6월2일부터 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 자산을 현재 60조원에서 2010년까지 100조원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콜금리의 2배 수익을 목표하는 '안정수익추구형'과 코스피 및 MSCI AC 월드 인덱스를 조합한 벤치마크 수익률을 목표하는 '적극수익추구형'로 나뉘어 고객이 자신의 성향에 맞게 자산관리 서비스를 고를 수 있다.
기존 자산관리 서비스는 PB의 단독 의사 결정에 따른 실패 위험이 있었지만, 이번 서비스는 포트폴리오 매니저와 에쿼티 매니저 등 전문가 그룹을 둬 '팀 관리' 체제로 운영돼 이 같은 위험을 낮춘 것이 특징이다.
또 특정 주식이나 펀드만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견과 투자성향을 고려해 펀드와 주식, ELF, 환매채, 채권 등 여러 자산을 활용해 자산배분 비중을 조절하고 투자대상을 교체하는 등 적극적인 자산 리밸런싱을 실시한다.
수수료 체계에도 차별점을 뒀다. 일반적으로 수수료는 펀드별, 주식매매 횟수별로 부과되지만 이 서비스의 경우 연 1.5~2.5%의 기본수수료만 내고, 벤치마크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 수익의 10~20%를 성과수수료로 받는다.
박미경 PB본부장은 "초기에는 PB센터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향후 전국 영업점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계약기간은 1년, 가입금액은 1억원 이상.
한경닷컴 문정현 기자 mjh@hankyung.com
이 서비스는 콜금리의 2배 수익을 목표하는 '안정수익추구형'과 코스피 및 MSCI AC 월드 인덱스를 조합한 벤치마크 수익률을 목표하는 '적극수익추구형'로 나뉘어 고객이 자신의 성향에 맞게 자산관리 서비스를 고를 수 있다.
기존 자산관리 서비스는 PB의 단독 의사 결정에 따른 실패 위험이 있었지만, 이번 서비스는 포트폴리오 매니저와 에쿼티 매니저 등 전문가 그룹을 둬 '팀 관리' 체제로 운영돼 이 같은 위험을 낮춘 것이 특징이다.
또 특정 주식이나 펀드만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견과 투자성향을 고려해 펀드와 주식, ELF, 환매채, 채권 등 여러 자산을 활용해 자산배분 비중을 조절하고 투자대상을 교체하는 등 적극적인 자산 리밸런싱을 실시한다.
수수료 체계에도 차별점을 뒀다. 일반적으로 수수료는 펀드별, 주식매매 횟수별로 부과되지만 이 서비스의 경우 연 1.5~2.5%의 기본수수료만 내고, 벤치마크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 수익의 10~20%를 성과수수료로 받는다.
박미경 PB본부장은 "초기에는 PB센터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향후 전국 영업점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계약기간은 1년, 가입금액은 1억원 이상.
한경닷컴 문정현 기자 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