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기업들의 인수·합병(M&A) 관련 규제에서 전략적 투자자와 헤지펀드를 차별해선 안된다는 생각이다."

이창용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9일 서울 리츠칼튼호텔에서 한국경제TV 주최로 열린 '헤지펀드코리아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최근 정부에서 추진 중인 대형 M&A딜에 대해 이 같은 견해를 밝혔다.

이 부위원장은 "그동안 M&A에서 기업 등 전략적 투자자는 허용하고 헤지펀드는 불허한다는 게 규제 당국의 입장이었다"며 "그러나 요즘 전략적 투자자인 기업들이 은행 등으로부터 과도하게 자금을 차입하는 세태를 고려하면 헤지펀드와 무슨 차이가 있는지 고민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금융회사가 관리 가능한 수준을 초과해 경쟁적으로 레버리지(금융차입)를 양산하면 금융시장에 구조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헤지펀드에 대해선 과거 감독 당국이 지나치게 레버리지 등을 제한했기 때문에 최소한의 제도적인 안전판만 마련한 채 규제를 대폭 풀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부위원장은 "헤지펀드 도입은 과감한 금융규제 개혁을 추진하려는 이명박 정부의 금융정책 핵심과제"라며 3단계 추진방안으로 △내년 중 적격투자자로 구성된 사모펀드에 대해서만 허용한 뒤 △시장상황을 고려해 50인 미만의 일반투자자로 구성된 사모펀드로 완화하고 △궁극적으로 헤지펀드를 사모펀드와 통합하는 계획 등 기존 방침을 소개했다.

이날 행사엔 미국의 옵티멀인베스트먼트서비스와 싱가포르의 BNP파리바자산운용,홍콩의 퍼멀그룹 등 해외 헤지펀드 운용업체들의 운용담당자들이 참석해 선진국의 헤지펀드 운용사례를 설명했다.

임상택 기자 lim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