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쇠고기 수입 고시 발표로 촛불집회의 최대 분수령이 된 29일 서울 부산 광주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 고시 철회와 한·미 쇠고기 재협상을 요구하는 촛불문화제가 열렸다.

이날 고시 발표에 맞춰 촛불문화제 참여를 선언한 민노총 산하 단체 노조원들이 대거 참가하면서 과격 시위가 우려됐으나 도로 점거 외에 별 다른 폭력 사태는 없었다.

○…서울에서는 집회 장소가 청계광장에서 서울시청 광장으로 옮겨져 오후 7시15분부터 정부의 고시 발표를 비난하는 대규모 촛불집회가 열렸다.

이날 집회에는 1만명가량이 참가,촛불문화제가 시작된 이래 가장 많은 참가자 수를 기록했다.

특히 한국철도노조 금속노조 금융산업노조 등 촛불문화제 참여를 선언한 민노총 산하 단체 노조원들이 대거 참가,일반 노동집회 현장을 방불케 했다.

○…집회를 마친 참가자들은 곧바로 도로 점거 시위에 나서 서울시청과 세종로 을지로 등 주변 도로는 9시가 되기 전에 교통이 통제되는 등 퇴근길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9000여명의 시위대는 조선호텔,신세계백화점,롯데명동백화점,을지로2가,광교,종로 낙원상가를 거쳐 다시 을지로로 진입하면서 '고시 철회,전면 재협상' '이명박 타도,미친소 물러가라' 등을 외쳤다.

경찰은 40여대의 버스와 전경 5000명을 동원해 주변 교통 통제에 나섰다.

경찰은 시위대가 진행하는 방향에 있는 도로를 멀찌감치부터 교통 통제해 이곳을 지나던 퇴근길 교통 차량은 우회로를 찾느라 극심한 혼잡을 빚었다.

을지로를 거쳐 다시 종로로 진입한 시위대는 광화문 사거리 진입을 시도했으나 경찰이 광화문 사거리를 차량과 1000여명의 전경으로 장벽을 쌓아 시위대와 장시간 대치했다.

광화문 진출이 막힌 시위대가 도로를 막고 앉아 농성을 벌여 종로는 밤 늦게까지 교통이 전면 통제됐다.

경찰은 시위대가 청계천이나 안국동쪽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골목마다 막아서는 봉쇄작전을 폈다.

불법 시위대를 지켜 보던 시민 권태건씨는 "이건 시민에 의한 독재"라며 "도로를 점거하고 불편을 주는 게 옳은 일이냐,나도 수입에 반대하지만 이런 시위는 더 반대한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부산시민 2000여명은 오후 7시부터 부산진구 서면 쥬디스 태화 앞에서 촛불문화제를 열고 고시 철회와 연행자 석방을 촉구했다.

이들은 행사가 끝난 뒤 500여명씩 4개조로 나눠 서면 복개천 일대 인도로 행진하다 오후 9시께 범내골 로터리 인근에서 중앙로 1개 차선을 점거한 채 서면 로터리쪽으로 이동하며 거리시위를 벌였다.

충북지역은 청주에서 200여명이 청주시 성안길 철당간 광장에서 촛불문화제를 열고 20여분간 거리행진을 벌였고 충주와 제천,영동,괴산 등에서도 소규모 촛불집회가 열렸다.

광주시민 500여명도 동구 금남로 삼복서점 앞에서 촛불문화제를 열고 수입 고시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집회 뒤 촛불과 횃불을 들고 금남로 일대 10㎞ 구간에서 거리행진을 벌였으나 물리적 충돌은 빚어지지 않았다.

경남에서는 창원과 진주,김해,의령,거제,합천 등 6개 시군에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와 정부 고시 철회를 촉구하는 촛불문화제가 열렸다.

이 밖에 대전역 광장과 전북 전주의 고사동 오거리 문화광장,인천 부평구 문화의 거리,강원도 춘천의 명동에서도 촛불문화제가 열렸다.

박민제/성선화/오진우/이재철 기자 pmj5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