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100일도 안돼 민심이반이라는 위기상황에 직면한 이명박 정부가 금명간 국정쇄신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단지 쇠고기 문제에 그치지 않고 그동안 새 정부의 미숙한 국정운영과 내각 및 청와대 참모진의 갈등(葛藤) 조정 능력 부재가 이 같은 위기를 불러온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게 사실이다.

국정운영 방식 전반에 대한 보다 획기적인 쇄신책이 나와야 한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최근의 사태가 단순히 미국산 쇠고기 수입문제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요인이 얽힌 사안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기대를 걸었던 경제와 민생문제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데다,'강부자'내각으로 대표되는 정부 출범 초 인사파문의 영향을 배제하기 어렵다.

그런 만큼 보다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쇄신책을 통해 돌파구를 찾지 못할 경우 사태는 더욱 악화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사정이 이런데도 청와대와 정부는 대국민 의사소통이라는 기본적인 정무 기능을 수행하지 못했다.

여권내 국정 컨트롤 타워가 제 기능을 상실함으로써 체계적 국정관리가 이뤄지지 못한데 따른 결과라는 얘기다.

국정운영 시스템과 조직 제도의 쇄신뿐 아니라,보다 과감한 인적쇄신을 머뭇거려서는 안될 이유다.

물론 국정쇄신의 핵심은 신뢰회복이다.

광우병 논란에서 시작해 점점 커져버린 촛불집회도 그 바탕엔 신뢰문제가 깔려 있다.

국민들의 신뢰야말로 정부가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힘이고 보면 국민들의 목소리를 더 많이 듣고 정책에 반영하는 시스템을 보완해야 한다.

인적쇄신 문제만 해도 그렇다.

당장 장관 몇명의 교체가 능사가 아니고,정무기능을 강화한다,홍보수석을 부활한다는 차원보다는 청와대가 국정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

같은 맥락(脈絡)에서 국무총리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점이 적지 않다.

총리의 현안 조정 역할과 권한 강화방안이 강구돼야 한다.

소통과 신뢰,설득을 위한 당ㆍ정ㆍ청 조율체제 구축 또한 서둘러야 한다.

이번의 국정쇄신책이 어떤 모습이냐에 따라 상황은 더 악화될 수도 진정될 수도 있는 만큼 미봉책으로는 결코 안된다.

보다 근본적이고 과감한 쇄신책만이 해법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