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유가…확산되는 생계형 시위… 스트레스 받는 지구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치솟는 유가…확산되는 생계형 시위…
유가 급등에 항의하는 '생계형 시위'가 지구촌 곳곳으로 확산되고 있다.
물가 안정을 겨냥,보조금을 통해 석유 가격을 낮게 통제해온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각국 정부가 재정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석유 가격 현실화에 나서자 생계가 힘들어진 시민들이 거리로 나오면서 일부 지역에선 무정부 상태까지 나타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달 24일 석유제품 가격을 평균 28.7% 인상했다.
휘발유는 ℓ당 4500루피아(약 500원)에서 6000루피아로 33% 올렸다.
2005년 10월 석유 가격을 올린 이후 가격을 동결해왔던 인도네시아 유도요노 대통령은 당초 2009년 대통령 선거 때까지 가격 인상을 억제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국제유가 급등으로 보조금 부담이 크게 늘어 재정적자가 국내총생산(GDP)의 2%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자 방침을 선회했다.
대만은 6월부터 휘발유 가격을 ℓ당 33.9대만달러(약 1150원)로 13% 올린 것을 비롯해 △경유 16% △액화석유가스(LPG) 10.8% 각각 인상했다.
대만은 작년 12월 이후 석유제품 가격을 동결해왔다.
베트남도 올 2월 석유 가격을 올렸다.
이 같은 조치는 시민들의 거센 항의로 이어져 정치적인 위기로까지 치닫고 있다.
인도네시아가 대표적이다.
지난달 27일 인도네시아 대학생들은 자카르타 시내로 이어지는 고속도로를 막고 타이어를 태우는 시위를 벌였다.
인도네시아 경찰당국은 일종의 무정부 상태라며 강경진압책을 시사했다.
하지만 과도한 진압이 자칫 과격시위를 확산시킬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1998년 석유값 인상으로 32년간 장기 집권한 수하르토 정권을 물러나게 한 시위가 재연될까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이 석유값 현실화에 주춤하는 이유도 자칫 정치적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인도는 휘발유와 디젤 소비자가격을 ℓ당 최대 10%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단행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2006년 2월 석유값을 현실화했던 말레이시아 정부는 최근 추가 인상 방침을 밝히긴 했지만 정치적 이유로 주저하고 있다.
중국이 최근 석유값 인상설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하고 나선 것도 인플레 심화가 사회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서다.
유럽에서도 유가 급등은 사회적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다.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벨기에 포르투갈은 물론 산유국인 러시아에서도 서민들이 연료값 인상에 항의하는 시위나 파업을 벌이고 있다.
영국과 네덜란드에서 트럭 운전사들이 시위를 벌인 데 이어 불가리아에서도 버스 운전사들이 지난달 30일 한 시간 동안 파업을 벌였다.
오광진 기자/도쿄=차병석 특파원 kjoh@hankyung.com
물가 안정을 겨냥,보조금을 통해 석유 가격을 낮게 통제해온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각국 정부가 재정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석유 가격 현실화에 나서자 생계가 힘들어진 시민들이 거리로 나오면서 일부 지역에선 무정부 상태까지 나타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달 24일 석유제품 가격을 평균 28.7% 인상했다.
휘발유는 ℓ당 4500루피아(약 500원)에서 6000루피아로 33% 올렸다.
2005년 10월 석유 가격을 올린 이후 가격을 동결해왔던 인도네시아 유도요노 대통령은 당초 2009년 대통령 선거 때까지 가격 인상을 억제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국제유가 급등으로 보조금 부담이 크게 늘어 재정적자가 국내총생산(GDP)의 2%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자 방침을 선회했다.
대만은 6월부터 휘발유 가격을 ℓ당 33.9대만달러(약 1150원)로 13% 올린 것을 비롯해 △경유 16% △액화석유가스(LPG) 10.8% 각각 인상했다.
대만은 작년 12월 이후 석유제품 가격을 동결해왔다.
베트남도 올 2월 석유 가격을 올렸다.
이 같은 조치는 시민들의 거센 항의로 이어져 정치적인 위기로까지 치닫고 있다.
인도네시아가 대표적이다.
지난달 27일 인도네시아 대학생들은 자카르타 시내로 이어지는 고속도로를 막고 타이어를 태우는 시위를 벌였다.
인도네시아 경찰당국은 일종의 무정부 상태라며 강경진압책을 시사했다.
하지만 과도한 진압이 자칫 과격시위를 확산시킬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1998년 석유값 인상으로 32년간 장기 집권한 수하르토 정권을 물러나게 한 시위가 재연될까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이 석유값 현실화에 주춤하는 이유도 자칫 정치적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인도는 휘발유와 디젤 소비자가격을 ℓ당 최대 10%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단행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2006년 2월 석유값을 현실화했던 말레이시아 정부는 최근 추가 인상 방침을 밝히긴 했지만 정치적 이유로 주저하고 있다.
중국이 최근 석유값 인상설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하고 나선 것도 인플레 심화가 사회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서다.
유럽에서도 유가 급등은 사회적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다.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벨기에 포르투갈은 물론 산유국인 러시아에서도 서민들이 연료값 인상에 항의하는 시위나 파업을 벌이고 있다.
영국과 네덜란드에서 트럭 운전사들이 시위를 벌인 데 이어 불가리아에서도 버스 운전사들이 지난달 30일 한 시간 동안 파업을 벌였다.
오광진 기자/도쿄=차병석 특파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