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만명 신용불량 기록 없앤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용회복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금융채무 불이행자가 빚을 성실히 갚을 경우 관련 기록이 삭제돼 취업이나 대출 때 받는 불이익이 줄어들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2일 한승수 국무총리와 전광우 금융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성실히 이행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 '신용회복 지원 중' 기록을 삭제하는 행사를 가졌다.
이날 '신용회복 지원 중'이라는 딱지를 뗀 수혜자는 금융채무 불이행자 가운데 신용회복위원회와 자산관리공사 등으로부터 채무 재조정을 받아 3개월 이상 연체 없이 2년 이상 빚을 갚고 있는 27만여명이다.
이는 신용회복 지원을 받고 있는 금융채무 불이행자 120여만명의 17%에 해당한다.
이번에 기록이 삭제된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경우 취업 제한은 풀리게 됐지만 금융회사에서 신규 대출이나 신용카드를 곧바로 발급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신용회복 지원을 받고 있는지 여부는 금융회사가 고객의 신용등급을 산정하는 여러 요소 가운데 하나"라며 "과거 연체액과 연체 기간 등을 반영한 신용등급에 따라 신규 대출과 카드 발급 여부가 결정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신용등급 산정에 불리한 요인이 하나 없어졌기 때문에 남은 빚을 제대로 갚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제도권 금융회사 대출이 가능한 수준으로 신용등급이 올라갈 수 있다"고 밝혔다.
금융회사들이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과거 연체 금액과 연체 기간 등에 관한 정보는 그대로 갖고 있기 때문에 제도권 금융회사를 이용하려면 나머지 빚도 제대로 갚고 신용등급을 올려야 한다.
금융위는 신용회복 지원 기록이 삭제된 이후에도 3개월 이상 연체하는 등 신용회복 프로그램을 성실히 이행하지 않을 경우 이 기록을 다시 올리거나 금융채무 불이행자로 등록할 계획이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 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