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인생] 엉치 통증에 두 다리 함께 아프면 허리디스크 아닌 '척추관협착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충남 홍성에서 농사를 짓는 송규철씨(60)는 6년여 전부터 허리통증을 느껴왔지만 동네의원에서 물리치료를 받으며 지내왔다.
그러다 최근 3개월 전부터는 엉치가 빠지고 양다리가 터질듯해 걷기조차 힘든 상태로 병원을 찾아왔다.
으레 허리디스크일 것으로 생각했는데 척추관협착증이란 진단이 나왔다.
허리통증으로 정형외과나 신경외과를 찾는 사람에게 가장 흔한 게 허리디스크(척추추간판탈출증)이고 다음으로 많은 게 척추관협착증이다.
이들 퇴행성 허리질환은 무엇보다 노화에서 온다.
하지만 여기에 흡연,운동 부족,불량한 자세,책상다리로 오래 앉기,장시간 앉아있거나 허리를 구부리거나 쪼그리고 일하는 직업 등의 요인이 겹쳐지면 더 빨리 온다.
허리디스크는 척추의 퇴행성 변화나 급격한 압박으로 인해 척추추간판(디스크)의 내부 수핵이 외곽을 싸고 있는 섬유륜을 뚫고 나와 척수의 경막(바깥층)이나 신경근(척수에서 사지로 신경이 뻗어나가기 시작하는 부위)을 압박해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동작,갑작스러운 자세 변경,추락 등으로 흔히 생긴다.
척추관 협착증은 나이 들어 척추뼈 뒤의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척추관) 주변의 인대와 관절이 두꺼워지면서 척추관이 좁아지는 것이 원인이다.
척추신경이 압박당하므로 엉치나 다리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허리디스크의 경우 대개 한쪽 다리만 당기듯 아프지만 척추관협착증은 엉덩이와 다리 전체가 저리는 게 특징이다.
이들 질환은 이런 특징적 증상과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촬영(MRI) 등을 이용한 검사로 쉽게 진단할 수 있다.
디스크 치료는 증상이 경미할 경우 휴식과 생활습관 교정,약물요법,물리치료,척수신경에 약물을 주사하는 통증치료 등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일정기간 이 같은 치료를 해도 효과가 없고 발목이나 다리가 마비되는 등 신경학적으로 문제가 생겨 갈수록 악화될 땐 수술적 치료를 받는다.
이 경우도 전체 환자의 15∼20%나 된다.
수술적 치료에는 가느다란 주사바늘로 상한 수핵을 녹여 없애는 플라즈마 감압술 등 간단한 것에서부터 미세현미경으로 환부를 보면서 문제 부위를 제거하거나 압박된 부위의 간격을 넓히는 현미경 감압술,내시경으로 환부를 보면서 레이저로 디스크를 없애는 내시경 레이저 수술,메스와 뜯게를 이용해 고식적으로 디스크를 제거하는 수술,나사를 박아 뒤틀리고 압박당한 척추를 바로잡는 척추고정술 등이 시행된다.
최근에는 부분마취만 하고 환부를 적게 절개하는 플라즈마 감압술이나 레이저 수술이 많이 적용되고 있는데 설령 척추고정술을 한다 해도 예전처럼 수십㎝가 아닌 몇㎝만 절개한다.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도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약물ㆍ물리ㆍ운동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하고 이런 것으로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에는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주는 수술을 한다.
대개 환자의 25%가량은 시간이 흘러 저절로 증상이 감소하지만 30%는 2∼3년 후 증상이 악화되며,45%는 수술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척추수술을 하게 되면 영영 허리를 못 쓰게 된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 많지만 반대로 수술만 하면 좋아질 것을 오랫동안 비수술적 치료만 고집하다 수술할 시기를 놓쳐 수술을 해도 소용이 없거나 효과가 적은 경우도 의외로 많다.
척추질환 역시 예방이 중요하다.
운동 또는 작업 전에 충분한 스트레칭과 달리기 등으로 워밍업을 하는 게 중요하다.
그래야만 디스크나 척추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이 준다.
다만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스트레칭을 할 때 앞으로 허리를 구부리는 굴곡운동은 해도 괜찮으나 뒤로 젖히는 신전운동은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허리근육과 복근,옆구리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는 게 좋다.
환자의 경우 센타르 메덱스 휴버 슬링 등의 특수운동기구 사용이 권장된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
도움말=손준석 연세사랑병원 부원장
그러다 최근 3개월 전부터는 엉치가 빠지고 양다리가 터질듯해 걷기조차 힘든 상태로 병원을 찾아왔다.
으레 허리디스크일 것으로 생각했는데 척추관협착증이란 진단이 나왔다.
허리통증으로 정형외과나 신경외과를 찾는 사람에게 가장 흔한 게 허리디스크(척추추간판탈출증)이고 다음으로 많은 게 척추관협착증이다.
이들 퇴행성 허리질환은 무엇보다 노화에서 온다.
하지만 여기에 흡연,운동 부족,불량한 자세,책상다리로 오래 앉기,장시간 앉아있거나 허리를 구부리거나 쪼그리고 일하는 직업 등의 요인이 겹쳐지면 더 빨리 온다.
허리디스크는 척추의 퇴행성 변화나 급격한 압박으로 인해 척추추간판(디스크)의 내부 수핵이 외곽을 싸고 있는 섬유륜을 뚫고 나와 척수의 경막(바깥층)이나 신경근(척수에서 사지로 신경이 뻗어나가기 시작하는 부위)을 압박해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동작,갑작스러운 자세 변경,추락 등으로 흔히 생긴다.
척추관 협착증은 나이 들어 척추뼈 뒤의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척추관) 주변의 인대와 관절이 두꺼워지면서 척추관이 좁아지는 것이 원인이다.
척추신경이 압박당하므로 엉치나 다리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허리디스크의 경우 대개 한쪽 다리만 당기듯 아프지만 척추관협착증은 엉덩이와 다리 전체가 저리는 게 특징이다.
이들 질환은 이런 특징적 증상과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촬영(MRI) 등을 이용한 검사로 쉽게 진단할 수 있다.
디스크 치료는 증상이 경미할 경우 휴식과 생활습관 교정,약물요법,물리치료,척수신경에 약물을 주사하는 통증치료 등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일정기간 이 같은 치료를 해도 효과가 없고 발목이나 다리가 마비되는 등 신경학적으로 문제가 생겨 갈수록 악화될 땐 수술적 치료를 받는다.
이 경우도 전체 환자의 15∼20%나 된다.
수술적 치료에는 가느다란 주사바늘로 상한 수핵을 녹여 없애는 플라즈마 감압술 등 간단한 것에서부터 미세현미경으로 환부를 보면서 문제 부위를 제거하거나 압박된 부위의 간격을 넓히는 현미경 감압술,내시경으로 환부를 보면서 레이저로 디스크를 없애는 내시경 레이저 수술,메스와 뜯게를 이용해 고식적으로 디스크를 제거하는 수술,나사를 박아 뒤틀리고 압박당한 척추를 바로잡는 척추고정술 등이 시행된다.
최근에는 부분마취만 하고 환부를 적게 절개하는 플라즈마 감압술이나 레이저 수술이 많이 적용되고 있는데 설령 척추고정술을 한다 해도 예전처럼 수십㎝가 아닌 몇㎝만 절개한다.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도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약물ㆍ물리ㆍ운동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하고 이런 것으로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에는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주는 수술을 한다.
대개 환자의 25%가량은 시간이 흘러 저절로 증상이 감소하지만 30%는 2∼3년 후 증상이 악화되며,45%는 수술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척추수술을 하게 되면 영영 허리를 못 쓰게 된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 많지만 반대로 수술만 하면 좋아질 것을 오랫동안 비수술적 치료만 고집하다 수술할 시기를 놓쳐 수술을 해도 소용이 없거나 효과가 적은 경우도 의외로 많다.
척추질환 역시 예방이 중요하다.
운동 또는 작업 전에 충분한 스트레칭과 달리기 등으로 워밍업을 하는 게 중요하다.
그래야만 디스크나 척추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이 준다.
다만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스트레칭을 할 때 앞으로 허리를 구부리는 굴곡운동은 해도 괜찮으나 뒤로 젖히는 신전운동은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허리근육과 복근,옆구리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는 게 좋다.
환자의 경우 센타르 메덱스 휴버 슬링 등의 특수운동기구 사용이 권장된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
도움말=손준석 연세사랑병원 부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