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증시대책 곧 나올것" … 은행서 '깡통계좌' 보조금 지원 등 포함될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베트남 정부가 조만간 증시 안정화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입니다."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은 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베트남 재무부 장관을 비롯해 증권감독위원장,투자청장 등과 1시간씩 개별 면담을 갖고 베트남 증시 현안을 심도있게 논의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유 사장은 증시 안정화 대책으로 개인투자자의 '깡통계좌'에 대한 지원책을 들었다.
그는 "은행에서 돈을 빌려 주식시장에 투자한 베트남 투자자들이 최근 증시 폭락으로 8000억원 정도의 깡통계좌를 갖게 됐다"며 "베트남 정부는 이들이 깡통계좌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증시가 추가 폭락하는 사태를 막기 위해 은행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증시 안정화 대책이 나오는 시점이 베트남 증시의 바닥이 될 것"이라며 "비록 내년 말까지 경제가 안 좋더라도 증시는 그 전에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목했다.
유 사장은 그러나 "베트남 경제상황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부정적"이라고 털어놨다.
국내 펀드투자자들의 베트남에 대한 투자는 당분간 유보할 것을 당부했다.
유 사장은 "올해는 물론 내년에도 모든 상황이 해결된 뒤에 들어가도 늦지 않다"며 "이미 베트남 펀드를 보유한 경우엔 만기가 3년 이상 남았으니 충분히 반등의 수혜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투자증권이 베트남에 설립한 합작 증권사의 영업 개시가 예정보다 지연된 것과 관련,그는 "베트남 정부가 제 기능을 못하는 증권사들에 대한 구조조정을 추진하면서 합작법인의 인가 일정도 다소 늦춰졌다"며 "조만간 예비인가를 받고 연말께는 업무를 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의 베네딕트 빙햄 베트남 사무소장은 지난 6일 베트남에서 열린 원조공여국회의에서 "베트남이 경기 과열로 인한 지금의 경제위기를 돌파하고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선 금리를 추가로 올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베트남 중앙은행은 지난달 19일 기준금리를 연 8.75%에서 12%로 올린 뒤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고수해왔다.
하노이=임상택 기자 limst@hankyung.com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은 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베트남 재무부 장관을 비롯해 증권감독위원장,투자청장 등과 1시간씩 개별 면담을 갖고 베트남 증시 현안을 심도있게 논의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유 사장은 증시 안정화 대책으로 개인투자자의 '깡통계좌'에 대한 지원책을 들었다.
그는 "은행에서 돈을 빌려 주식시장에 투자한 베트남 투자자들이 최근 증시 폭락으로 8000억원 정도의 깡통계좌를 갖게 됐다"며 "베트남 정부는 이들이 깡통계좌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증시가 추가 폭락하는 사태를 막기 위해 은행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증시 안정화 대책이 나오는 시점이 베트남 증시의 바닥이 될 것"이라며 "비록 내년 말까지 경제가 안 좋더라도 증시는 그 전에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목했다.
유 사장은 그러나 "베트남 경제상황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부정적"이라고 털어놨다.
국내 펀드투자자들의 베트남에 대한 투자는 당분간 유보할 것을 당부했다.
유 사장은 "올해는 물론 내년에도 모든 상황이 해결된 뒤에 들어가도 늦지 않다"며 "이미 베트남 펀드를 보유한 경우엔 만기가 3년 이상 남았으니 충분히 반등의 수혜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투자증권이 베트남에 설립한 합작 증권사의 영업 개시가 예정보다 지연된 것과 관련,그는 "베트남 정부가 제 기능을 못하는 증권사들에 대한 구조조정을 추진하면서 합작법인의 인가 일정도 다소 늦춰졌다"며 "조만간 예비인가를 받고 연말께는 업무를 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의 베네딕트 빙햄 베트남 사무소장은 지난 6일 베트남에서 열린 원조공여국회의에서 "베트남이 경기 과열로 인한 지금의 경제위기를 돌파하고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선 금리를 추가로 올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베트남 중앙은행은 지난달 19일 기준금리를 연 8.75%에서 12%로 올린 뒤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고수해왔다.
하노이=임상택 기자 lim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