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를 휩쓸고 있는 인적 쇄신론의 태풍 속에서 '박근혜 총리론'이 다시 꿈틀대고 있다.

한승수 국무총리가 국정혼란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자진 사퇴할 것이란 얘기가 나오자 박근혜 전 대표가 구원 투수로 거론돼 주목된다.

'박근혜 총리'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는 한나라당 일각의 논리는 '계파 갈등을 잠재우고 민심을 통합하는 데 최고의 카드'라는 것.지난 6일 김학원 최고위원은 라디오프로그램에 출연해 "당내 모든 앙금과 찌꺼기를 없애고 화합이 이뤄지면 박 전 대표가 나라를 위해 희생하는 마음으로 총리를 맡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박 전 대표의 리더십만이 미국산 쇠고기 파동으로 분열된 국민 정서를 봉합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심리가 깔려 있다.

무엇보다 친박계와의 갈등으로 떠나간 영남권의 민심이 다시 결집한다면 당ㆍ청 간의 갈등은 해소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박 전 대표 측의 한 관계자는 "(박 전 대표가) 특별한 언급이 없었다"면서 "국정 안정을 위해 당과 청와대에서 공식 요청한다면 박 전 대표도 진지하게 고민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안팎에선 "국회 인사청문회 등 국정공백이 우려된다"는 '한승수 총리 유임론'과 성난 민심을 가라앉히고 여권의 정치력을 집중한다는 차원에서의 '박근혜 총리설'이 팽팽히 맞서 있는 상태다.

김유미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