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년 끌어온 경북도청 이전 문제 '매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조5천억 투자ㆍ인구 10만 신도시로 개발
대구가 광역시로 분리한 뒤 27년 동안 끌어온 도청이전 문제가 8일 안동ㆍ예천의 접경지역으로 확정되면서 신도청 소재지 건설이 본 궤도에 오르게 됐다.
도청이전은 1981년 7월 대구광역시 승격으로 필요성이 제기돼 각종 선거 때마다 이슈로 등장했다.
그러나 도 의회의 합의 실패,지역 간 갈등 등으로 표류해왔다.
이번 후보지 확정으로 경북지역 최대의 숙원 사업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된 것이다.
경북도는 낙후한 도의 관할 구역에 도청을 옮김으로써 지역균형발전을 촉진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의식 새경북기획단장은 "도청이전 후보지 선정은 전국 시ㆍ도 가운데 가장 넓은 면적(전국 대비 19%,1만9026㎢)을 관리하는 경북도의 위상을 다시 정립하고 도민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며 일체감을 높일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도청이 대구에 있음에 따라 그동안 관련 공공기관 등의 경상비 지출 3419억원,도청방문 경비 92억원 등 연간 3628억원에 이르는 경제적 손실이 발생해온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경북도는 23개 시ㆍ군이 함께 잘 사는 균형발전의 핵,산업발전과 지역혁신을 견인할 성장 거점,행정과 지식창조의 중심인 '명품 도시'건설을 목표로 삼고 있다.
새 도청 소재지는 경북발전의 중심축으로 만들기 위해 계획인구10만명 이상,면적 12㎢ 이상 등을 골자로 한 신도시형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신도시는 지방 행정ㆍ정치의 중심,교육ㆍ문화 창출 기능,지식산업ㆍ비즈니스 촉진 기능 등을 갖추게 된다.
신도청 소재지의 건설을 위해서는 2조5000억원 내외로 추정되는 건설 재원 조달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경북도는 특별법에 따른 국비지원 예산과 현재의 경북도청 청사 및 대구 지역에 산재한 경북도 소유 재산을 매각할 경우 필요 재원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북도는 도청 이전 신시가지도 공영 개발 방식으로 조성해 필요 예산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재원 조달이 계획대로 되지 않으면 광역기반시설 확충에 따른 비용 증가로 도시 건설 및 형성이 장기화할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도청 이전지 결정에 따라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후보지 신청지역 11곳 가운데 탈락한 일부 지역에서 '수용 불응'을 외치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민ㆍ관으로 공공기관 유치위원회를 구성해 도청 유치에 나섰던 영천지역은 "수용할 수 없다"며 불만을 나타냈고 영천과 경주,포항지역 단체들도 이전지 결정에 대해 무효화 운동에 나설 움직임이다.
게다가 도의회에서 도청이전 예정지 결정을 법과 제도로 뒷받침할 '도청소재지 규정 조례'가 처리될 수 있을지도 관심거리다.
이 조례는 이달 중 도의회 임시회에 상정될 예정이나 탈락한 시ㆍ군의 도의원들이 지역에서 수용 불가를 주장하며 반발하면 이를 빌미로 투표에서 찬성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구=신경원기자 shinkis@hankyung.com
대구가 광역시로 분리한 뒤 27년 동안 끌어온 도청이전 문제가 8일 안동ㆍ예천의 접경지역으로 확정되면서 신도청 소재지 건설이 본 궤도에 오르게 됐다.
도청이전은 1981년 7월 대구광역시 승격으로 필요성이 제기돼 각종 선거 때마다 이슈로 등장했다.
그러나 도 의회의 합의 실패,지역 간 갈등 등으로 표류해왔다.
이번 후보지 확정으로 경북지역 최대의 숙원 사업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된 것이다.
경북도는 낙후한 도의 관할 구역에 도청을 옮김으로써 지역균형발전을 촉진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의식 새경북기획단장은 "도청이전 후보지 선정은 전국 시ㆍ도 가운데 가장 넓은 면적(전국 대비 19%,1만9026㎢)을 관리하는 경북도의 위상을 다시 정립하고 도민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며 일체감을 높일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도청이 대구에 있음에 따라 그동안 관련 공공기관 등의 경상비 지출 3419억원,도청방문 경비 92억원 등 연간 3628억원에 이르는 경제적 손실이 발생해온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경북도는 23개 시ㆍ군이 함께 잘 사는 균형발전의 핵,산업발전과 지역혁신을 견인할 성장 거점,행정과 지식창조의 중심인 '명품 도시'건설을 목표로 삼고 있다.
새 도청 소재지는 경북발전의 중심축으로 만들기 위해 계획인구10만명 이상,면적 12㎢ 이상 등을 골자로 한 신도시형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신도시는 지방 행정ㆍ정치의 중심,교육ㆍ문화 창출 기능,지식산업ㆍ비즈니스 촉진 기능 등을 갖추게 된다.
신도청 소재지의 건설을 위해서는 2조5000억원 내외로 추정되는 건설 재원 조달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경북도는 특별법에 따른 국비지원 예산과 현재의 경북도청 청사 및 대구 지역에 산재한 경북도 소유 재산을 매각할 경우 필요 재원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북도는 도청 이전 신시가지도 공영 개발 방식으로 조성해 필요 예산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재원 조달이 계획대로 되지 않으면 광역기반시설 확충에 따른 비용 증가로 도시 건설 및 형성이 장기화할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도청 이전지 결정에 따라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후보지 신청지역 11곳 가운데 탈락한 일부 지역에서 '수용 불응'을 외치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민ㆍ관으로 공공기관 유치위원회를 구성해 도청 유치에 나섰던 영천지역은 "수용할 수 없다"며 불만을 나타냈고 영천과 경주,포항지역 단체들도 이전지 결정에 대해 무효화 운동에 나설 움직임이다.
게다가 도의회에서 도청이전 예정지 결정을 법과 제도로 뒷받침할 '도청소재지 규정 조례'가 처리될 수 있을지도 관심거리다.
이 조례는 이달 중 도의회 임시회에 상정될 예정이나 탈락한 시ㆍ군의 도의원들이 지역에서 수용 불가를 주장하며 반발하면 이를 빌미로 투표에서 찬성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구=신경원기자 shi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