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대투증권은 11일 베트남이 고물가를 대쳐하기 위해 금리를 14%로 인상했지만 불안심리를 해소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 증권사 소재용 연구원은 "베트남 중앙은행은 25%를 넘는 초고물가에 대처해 지난 5월에 8.75%인 기준금리를 12.0%로 인상한 데 이어 11일부터 14.0%로 추가 인상을 단행하는 한편, 1%인 베트남 동화의 환율 변동폭을 2%로 확대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베트남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결정은 국가위기 우려에 대해 정부의 대처 의지가 피력되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나, 악화되고 있는 주변 여건을 감안할 경우 불확실성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이는 초고물가의 원인이 투자과열 이외에도 식료품 및 원자재 가격 급등 이라는 외부 요인에 있고 전년비 75%나 증가한 수입으로 인해 무역수지가 대폭 악화되는 등 구조적 제약하에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이로 인한 동화 절하압력은 수입물가 상승압력으로 전이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데다 IMF를 비롯한 국제기구가 제시한 25% 내외의 금리수준에는 못 미치고 있기 때문.

다만 소 연구원은 "베트남의 외채규모가 알려지지 않았으나 지난 97년과는 다소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어 베트남 금융위기의 조기 해소는 어렵더라도 한국 등 주변국가로 위기가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