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화재, "한화의 제일화재 인수 문제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메리츠화재가 한화그룹의 제일화재 경영권 인수를 추진 과정이 문제있다고 11일 주장했다.
메리츠화재는 전날 금융위원회에 공식 질의를 통해 한화그룹의 제일화재 주식취득과정, 금융위의 승인과정 등이 문제 있다고 공식 질의했다.
우선 메리츠화재는 한화그룹의 제일화재 주식 취득 과정에서 금융위의 승인을 얻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한화그룹은 지난 4월 24일부터 4월 28일까지 한화건설, 한화갤러리아 등 계열사 12개사를 동원하여 각각 제일화재 지분 0.99%, 합계 8.91%를 취득했고 추가로 1.89%를 취득해 총 10.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대해 메리츠화재는 "회사별로 각각 1% 미만의 지분을 취득했다고 하더라도 금융위의 사전 승인없이 미리 계획된 일련의 거래를 통해 제일화재 지분 10.8%를 취득한 것은 보험업법을 위반했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한화그룹이 금융위의 사전 승인없이 제일화재의 대주주가 되었다는 점 또한 석연치 않다는 것.
보험업법상 주식취득으로 보험회사의 대주주가 되고자 하는 자는 건전한 경영을 위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건을 갖추어 사전에 금융위의 승인을 얻도록 되어 있지만 이를 위반했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한화건설은 주식을 ‘취득’한 것이 아니고 제일화재 이사회 의장인 김영혜씨로부터 ‘의결권 위임’을 받은 것이므로 사전 승인 대상이 아니라고 보고 있지만, 한화건설은 주식을 취득했을 뿐만아니라 의결권 위임까지 받아 이미 실질적인 보험회사의 지배주주의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이 밖에도 메리츠화재는 금융위의 사전 승인없이 한화그룹이 이미 제일화재의 실질적인 대주주 역할을 하고 있는 점도 문제라는 것.
제일화재는 지난 5월 23일 이사회를 개최해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를 하면서 한화그룹측 인사 2명을 신규이사 후보로 상정한 바 있는데, 이는 한화그룹이 제일화재의 주요주주로서 이미 제일화재에 대해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외부 법무법인의 법률자문 의견서와 함께 이와 같은 주장을 담은 문서를 금융위에 공식 제출,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라며 "제일화재 경영권 인수를 계속 추진한다는 기존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
메리츠화재는 전날 금융위원회에 공식 질의를 통해 한화그룹의 제일화재 주식취득과정, 금융위의 승인과정 등이 문제 있다고 공식 질의했다.
우선 메리츠화재는 한화그룹의 제일화재 주식 취득 과정에서 금융위의 승인을 얻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한화그룹은 지난 4월 24일부터 4월 28일까지 한화건설, 한화갤러리아 등 계열사 12개사를 동원하여 각각 제일화재 지분 0.99%, 합계 8.91%를 취득했고 추가로 1.89%를 취득해 총 10.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대해 메리츠화재는 "회사별로 각각 1% 미만의 지분을 취득했다고 하더라도 금융위의 사전 승인없이 미리 계획된 일련의 거래를 통해 제일화재 지분 10.8%를 취득한 것은 보험업법을 위반했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한화그룹이 금융위의 사전 승인없이 제일화재의 대주주가 되었다는 점 또한 석연치 않다는 것.
보험업법상 주식취득으로 보험회사의 대주주가 되고자 하는 자는 건전한 경영을 위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건을 갖추어 사전에 금융위의 승인을 얻도록 되어 있지만 이를 위반했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한화건설은 주식을 ‘취득’한 것이 아니고 제일화재 이사회 의장인 김영혜씨로부터 ‘의결권 위임’을 받은 것이므로 사전 승인 대상이 아니라고 보고 있지만, 한화건설은 주식을 취득했을 뿐만아니라 의결권 위임까지 받아 이미 실질적인 보험회사의 지배주주의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이 밖에도 메리츠화재는 금융위의 사전 승인없이 한화그룹이 이미 제일화재의 실질적인 대주주 역할을 하고 있는 점도 문제라는 것.
제일화재는 지난 5월 23일 이사회를 개최해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를 하면서 한화그룹측 인사 2명을 신규이사 후보로 상정한 바 있는데, 이는 한화그룹이 제일화재의 주요주주로서 이미 제일화재에 대해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외부 법무법인의 법률자문 의견서와 함께 이와 같은 주장을 담은 문서를 금융위에 공식 제출,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라며 "제일화재 경영권 인수를 계속 추진한다는 기존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