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통신료 인하, 부정적 영향은 단기-굿모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굿모닝신한증권은 12일 저소득층 이동통신 요금인하 발표가 이동통신업종에 대한 투자 심리에는 부정적이지만 그 영향은 단기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11일 정부는 저소득층에 대한 이동통신 요금인하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기초생활수급자의 일부만으로 제한돼 있는 요금 감면 대상을 전체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으로 확대하는 한편, 기초수급자에 대해서는 가입비와 기본료 면제, 통화료 50% 할인 혜택을 제공하게 된다.
차상위계층은 가입비 면제, 기본료와 통화료 35%할인 혜택을 받게 될 예정이다.
진창환 굿모닝신한증권 연구원은 "이번 조치로 요금 감면 대상자가 기존 71만명에서 373만명으로 늘어나지만 매출 감소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소득 입증 방법의 어려움, 서비스 신청의 불편함 등으로 요금 감면 대상자 중 실제로 감면 혜택을 받는 사람의 숫자는 적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진 연구원은 "망내할인, 데이터 요금인하 등 이동통신 요금인하가 단행된지 얼마되지 않은 상황에서 또 다시 요금인하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부정적"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점과 요금인가제 폐지 및 MVNO(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도입 등 시장 자율에 의한 요금인하라는 정부 정책기조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저소득층에 대한 이동통신 요금인하에 따른 부정적 영향은 단기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hankyung.com
11일 정부는 저소득층에 대한 이동통신 요금인하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기초생활수급자의 일부만으로 제한돼 있는 요금 감면 대상을 전체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으로 확대하는 한편, 기초수급자에 대해서는 가입비와 기본료 면제, 통화료 50% 할인 혜택을 제공하게 된다.
차상위계층은 가입비 면제, 기본료와 통화료 35%할인 혜택을 받게 될 예정이다.
진창환 굿모닝신한증권 연구원은 "이번 조치로 요금 감면 대상자가 기존 71만명에서 373만명으로 늘어나지만 매출 감소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소득 입증 방법의 어려움, 서비스 신청의 불편함 등으로 요금 감면 대상자 중 실제로 감면 혜택을 받는 사람의 숫자는 적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진 연구원은 "망내할인, 데이터 요금인하 등 이동통신 요금인하가 단행된지 얼마되지 않은 상황에서 또 다시 요금인하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부정적"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점과 요금인가제 폐지 및 MVNO(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도입 등 시장 자율에 의한 요금인하라는 정부 정책기조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저소득층에 대한 이동통신 요금인하에 따른 부정적 영향은 단기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