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은 12일 정부의 지방 미분양 주택 해소방안에 대해 적극적인 규제완화 정책이 포함되지 않아 건설업종의 재반등을 이끌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는 의견을 내놓있다.

다만 이번 정책이 지방의 미분양 주택 해소의 시발점이 될으로 전망하고 건설업종에 대한 투자의견은 '비중확대'를 유지했다.

조윤호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적극적 규제완화나 1가구 2주택 면세 정책 등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번 지방 미분양 대책이 건설업종의 재반등을 이끌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비투기지역 미분양 주택에 대한 담보인정비율 상향 조정의 경우 분양가를 10% 이상 인하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분양대금 납부조건 완화 주택에 해당되는 것으로, 준공후 미분양주택이 아니라면 건설사가 이익규모 축소를 감수하면서 분양가를 10% 이상 인하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취등록세 감면 역시 세금이 50% 절감되기는 하지만 주택을 구매하는 비용에 비해서는 큰 금액이라고 판단되지 않는다는 진단과 함께 일시적 1세대 2주택자 요건 완화도 교체수요를 원할하게 할 수는 있겠지만 미분양 주택 매입에 대한 적극적인 동기가 되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됐다.

조 애널리스트는 "이번 대책이 지방 미분양 주택수 감소와 주택가격 안정이라는 상반된 두가지 전제조건을 충족시켜야했기 때문에 실제로 미흡한 정책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면서 "다만 이번 조치가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한 시발점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