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 쇠고기 수입문제를 풀기 위해 미국과 추가협상에 나서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은 어제 기자회견에서 13일부터 수전 슈워브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추가협상을 갖고 사실상 재협상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밝혔다.

미국 쇠고기 논란을 말끔히 매듭짓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이번 추가협상이 사실상 재협상과 같은 효력을 가지려면 가장 민감한 사안으로 대두된 30개월 이상의 쇠고기 수입을 실질적으로 봉쇄(封鎖)할 수 있는 조치가 강구돼야 할 것이다.

그동안 양국 업계와 정부당국 간에 상당한 논의와 진전이 이뤄진 것이어서 가능한 수단과 방법은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런 점에서 이번 협상단의 역할은 정말 막중하다.

전 국민적 관심사이기도 하지만,미국 쇠고기 문제에 걸려 국정이 한발짝도 움직이지 못하는 딱한 현실을 감안할 때 더욱 그렇다.

이미 국가간 협상이 끝난 합의문을 보완해야 하는데,국제적 통상관행과 규범에 어긋나지 않으면서도 30개월 이상과 광우병 특정위험물질(SRM) 등 위험이 조금이라도 있는 쇠고기 수입을 원천적으로 막는 실제적인 보완조치를 마련해야 하는 난제를 안고 있다.

두 가지를 동시에 성취하기가 쉽지않다는 점에서 그 책무는 무척 무거울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것만이 현재로선 촛불시위와 국정혼란을 극복할 수 있는 지름길이다.

통상본부뿐 아니라 정부의 대미 외교력이 총동원돼야 하는 이유다.

정부의 신뢰회복이 여기에서 시작한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부는 위기돌파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로도 여겨야 한다.

국민들도 더 이상의 과격시위와 길거리 투쟁은 국력낭비라는 점에서 이제는 정부의 행보(行步)를 지켜 볼 때다.

추가협상으로 미국 쇠고기에 대한 불안을 완전히 불식시킬 수 있으면 된다.

외교적 망신을 수반하는 재협상을 꼭 고집해야 할 이유는 없다.

여야 정치권도 국회부터 정상화해야 한다.

지금 우리 경제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가.

유가폭등으로 서민은 하루하루가 힘들기만 하다.

화물연대 등 노조의 파업까지 겹쳐 총체적인 난국이다.

길거리 정치가 아니라 의사당 정치로 국회의원들의 품격을 되찾아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