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의 총파업이 계속되면서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여기에 덤프트럭 레미콘 등 건설기계 노조도 오늘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는데다 철도노조마저 다음주부터 파업을 예고하고 있어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정부와 업계는 나흘째로 접어든 화물연대의 파업 손실액이 벌써 5000억원을 넘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 2003년 14일간의 화물연대 파업으로 발생한 총 손실액(5400억원)과 맞먹는 손해가 이미 발생한 셈이다.

파업이 며칠만 더 계속되면 1조원이 넘는 돈이 허공으로 날아갈 수 있다는 계산도 나온다.

더욱 심각한 것은 피해액 자체보다도 최근 경제상황이 2003년 당시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나쁘다는 점이다.

이런 시점에서 운송 교통 등 물류 부문의 파업이 줄을 이을 경우 경제 전체가 사실상 마비(麻痺) 상태에 빠지게 된다는 것은 새삼 강조할 필요조차 없다.

물론 고유가로 인해 화물연대를 비롯한 운송관련 당사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솔직히 이해하고도 남는다.그렇다 하더라도 고유가는 지구촌 공통의 문제임을 감안하면 결코 파업으로 해결될 일이 아니라는 점도 쉽게 알 수 있는 일이다.좀 더 멀리보고 대승적(大乘的) 차원에서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

나만 손해보지 않겠다는 근시안적인 생각으로 사태를 키운다면 결국 기업은 물론 화물운송업계 역시 공멸의 함정으로 빠져들 수밖에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결국 유일한 해결책은 고통 분담뿐이다.화물연대는 파업을 풀고 물류를 정상화시키는 한편 생산기업과 화주들은 가능한 범위내에서 운송비 현실화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정부 역시 당장의 미봉책만 만들기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화물업계의 다단계 하도급 구조와 지입차 제도를 개선하는 한편 운송시장의 경쟁이 저해되지 않도록 물류시스템을 고쳐 나가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당정이 어제 화물업 운송구조 간소화를 위해 법과 제도를 정비키로 한 것은 다소 늦었지만 옳은 방향이다.

서둘러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거듭 강조하지만 지금은 국민과 정부가 대립하며 책임을 미룰 때가 아니라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