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목포 간 남해안 고속철도를 건설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어 논란이 일 전망이다.

최상철 대통령자문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이하 균형위) 위원장은 18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인터뷰에서 부산~여수~목포를 잇는 남해안 선벨트(Sun Belt) 계획의 하나로 부산~목포 간 남해안 고속철도 건설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남해안 지역은 인구가 1200여만명으로 2015년 완공 예정인 호남고속철도(800만명)보다 경제성이 우수하다"며 "호남고속철도에 이어 남해안 고속철도가 운영된다면 전체 인구의 90%가 고속철도 노선에 접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토해양부 고위관계자는 "현재 남해안 고속철도를 공식적으로 논의한 바는 없다"면서도 "균형위의 공식 의견이라면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는 방안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순수하게 비용편익비율(B/C)로 보면 남해안 고속철도가 호남고속철도보다 높게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국토부 고위관계자는 "남해안 고속철도는 국토균형발전 차원에서 충분히 검토할 만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반대 의견도 많다.

남해안 고속철도가 단순히 관광열차용이 될 가능성이 높은 데다 예산 문제로 신규 고속철도 노선을 건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최 위원장 개인 의견이자 희망사항 아니겠느냐"며 "2020년까지 청사진이 그려진 국토종합계획에 따라 호남고속철도 건설에 주력한다는 것이 정부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남해안 선벨트 지역에 수십만평이 넘는 땅을 소유하고 있는 기업과 일부 종교단체들에 막대한 개발이익이 돌아간다는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 위원장은 또 "동남권 신공항 입지를 최대한 빨리 선정해 준공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부산 경남 울산 경북 충청에 거주하는 국민들이 이용할 수 있어 공항 이용자 규모면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현재 동남권 신공항에 대해 용역 중이며 이르면 내년 9월께 입지를 선정한 뒤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남해안 선벨트는 부산~여수~목포를 잇는 남해안을 산업-관광-물류-문화의 중심이 되는 새로운 초광역 경제권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으로 이명박 대통령의 주요 대선공약 중 하나다.

균형위는 국토부 등을 중심으로 세부안을 만들어 다음 달 대통령에게 보고할 예정이다.

김문권 기자 m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