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968년부터 1997년까지 4차에 걸쳐 18개 공기업을 민영화하고 22개 기업은 지분 일부를 민간에 넘겼다.

경제 개발 및 운용의 패러다임이 정부 주도형에서 민간 자율형으로 바뀌는 큰 흐름에 맞춰서 정책적 육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기업으로 두던 것을 민영화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기계 대한통운 등 제조업 기업과 한일은행(현 우리은행으로 통합) 제일은행(현 SC제일은행) 등 금융기관이 민간 소유로 바뀌었다.

포항제철(현 포스코) 한국전력 등은 국민주 방식으로 지분 전부 또는 일부가 민간에 분산됐다.

'공공부문 비대화 해소''방만경영 차단' 등 현재와 비슷한 문제의식으로 공기업 민영화 문제에 접근하기 시작한 것은 1998년 출범한 김대중 정부 때부터였다.

정부는 외환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공공부문 개혁을 추진했다.

총 11개 공기업이 민영화 대상에 올랐고 77개 자회사도 매각 계획이 잡혔다.

이 중 KT(당시 한국통신) KT&G(한국담배인삼공사) 두산중공업(한국중공업) 대한송유관공사 등 8개 공기업과 67개 자회사가 실제 매각 수순을 밟았다.

나머지 공기업도 인력감축(4만2000명) 민간위탁(45건) 자산매각(360건) 등 대폭적인 구조조정이 이뤄졌다.

이들 공기업의 민영화 이후 경영성과는 어땠을까.

대한송유관공사는 2000년 민영화 이전 4년간의 영업이익률 평균치가 -1.9%로 적자에 허덕였으나 민영화 이후 평균 영업이익률이 42%로 눈에 띄게 좋아졌다.

부실기업이 '알짜'로 바뀐 것이다.

2002년 민영화된 KT 역시 영업이익률이 11.1%(민영화 이전 4년 평균치)에서 14.4%(민영화 이후 4년 평균치)까지 올라갔다.

KT&G도 24.5%에서 33.3%로 오르면서 수익성이 대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차기현 기자 kh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