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22명과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국회 기후변화·에너지대책연구회'가 20일 국회에서 창립식을 갖고 지구 온난화와 에너지 전략에 대한 공론화 작업에 들어갔다.

회장을 맡은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책임연구위원인 최경환 의원 등은 연구회를 통해 기후 변화와 자원 확보에 대한 국가 전략을 연구해 입법활동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모임에는 한나라당의 주호영 수석원내부대표와 이한구 전 정책위 의장,조경태 통합민주당 의원 등 여야 의원과 17대 대통령직인수위에서 관련 태스크포스팀을 주도했던 허증수 경북대 교수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홍 대표는 "기후 변화와 에너지 문제는 미래 인류사회의 운명을 결정할 시급한 화두"라며 "국가적인 관심을 가져야 세계 일류 국가로 갈 수 있는 길이 열린다"고 창립 취지를 설명했다.

김형오 국회의장 내정자는 "이산화탄소 9위 배출국이자 에너지 97%를 해외에 의존하면서도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개발 연구는 상대적으로 뒤떨어져 있는 등 갈 길이 멀다"며 연구회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특강을 맡은 허 교수는 "지난해 발리 로드맵 채택에 따라 2009년 12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까지 국가별로 감축안을 내놓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기후 변화와 관련해 우리나라는 지금 데드라인에 다가와 있다"고 말했다.

또 "구체적인 전략 없이 2013년 감축의무국으로 지정될 경우 금융뿐 아니라 산업계 전체를 아우르는 '제2의 IMF위기'가 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산업계에서는 윤종용 삼성전자 상임고문이 참석해 "고유가와 석유 고갈에 앞서 대처하려면 국가 차원의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기업들이 온난화를 기회삼아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법과 규제책을 정비해달라"고 주문했다.

이기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은 "학계와의 협력을 통해 풍력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고 원자력 발전을 재조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 의원은 "정부가 입법을 추진 중인 '기후변화대책기본법'의 골격을 세우는 일부터 시작할 것"이라며 "세미나와 공청회 등을 통해 국민적 여론을 깨우고 산업계와 학계의 참여도 이끌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