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개월 미만 쇠고기만 수입하기로 한국과 미국이 사실상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촛불집회를 주도하는 광우병 국민대책회의 측은 20일 "정부가 문제를 호도하고 있다"며 촛불집회를 강행하겠다고 나섰다.

이에 대해 인터넷에선 광우병 국민대책회의가 정부 대책과 인적쇄신에 아랑곳 않고 촛불만 고집하고 있다는 비난글이 쇄도하고 있다.

대책회의 측은 이날 △30개월 미만 쇠고기의 광우병위험물질 및 곱창,사골,꼬리뼈,혀의 계속 수입 금지 △미국 내 도축장 승인,취소권한 및 수입중단 권한 등 검역주권 회복 △한국 수출용 미국산 쇠고기 전수검사 실시 등 종래 주장을 되풀이했다.

대책회의는 재협상 등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대정부 압박 수위를 높여간다는 방침에 따라 이날부터 22일까지 48시간 동안 비상국민행동에 돌입,2차 촛불대행진을 진행키로 했다.

또 24일과 27일 등 3차에 걸친 국민대토론회를 통해 촛불운동의 방향을 재설정하기로 했다.

박원석 상황실장은 "시민들이 모래주머니를 1개씩 지참하고 촛불문화제에 참석해 컨테이너 앞에 더 높이 쌓아 명박산성이라고 불리는 컨테이너를 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촛불집회에 일반 시민들이 빠져나가면서 추진력을 잃고 있는 대책회의 측이 '무리수'를 두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많다.

특히 일부 네티즌들의 언론 광고주에 대한 협박과 제품 불매운동 등은 촛불집회 초심과는 전혀 무관하다는 지적이 집회 참석자들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다.

이에 앞서 대책회의는 지난 19일 밤 '1차 국민대토론회'를 열고 정부를 성토했다.

발언 내용에는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은 물건너갔다.

34만개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는 200년이 걸릴 것이다" "광우병에 걸릴 확률이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4500만 국민이 매일 쇠고기를 먹으면 1년에 1명 정도는 광우병 환자가 나온다"는 등 아전인수식 해석이 적잖았다.

김병일 기자 k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