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0일 송도국제도시 인천타워 기공식에 앞서 송도 갯벌타워에서 열린 인천미래발전을 위한 토론회에서 "남북 간 접경지역인 강화에 조성되는 남북산업협력기지는 북한의 값싼 노동력과 남한의 기술 및 자본이 결합될 경우 한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며 "미래지향적이며 바람직한 방안인 만큼 미루지 말고 바로 실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강화 등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하는 것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안상수 인천시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이 대통령에게 접경지역의 평화벨트 구축 및 남북동반 성장동력 확보,동북아 물류선점을 위해 개성공단과 가장 가까운 △강화 접경지역 △인천항 주변 △영종도 인근 섬인 신도 일원 등 3개 지구 총 101.3㎢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해 줄 것을 건의했다.
인천시의 계획에 따르면 강화군의 육지부 남북단 75.5㎢에 남북 물류전진기지와 교육ㆍ바이오산업을 유치할 예정이다.
이곳은 북한 개풍지역과 직선으로 2㎞ 정도 떨어져 있다.
인천항 주변 8.2㎢는 송도 및 청라지구를 연계한 물류산업단지로 조성하고 신도 일원 17.6㎢는 문화ㆍ의료산업단지로 꾸민다는 계획이다.
인천시는 강화 일대 등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받기 위해 이달 중 타당성 용역을 발주하고 내년 하반기 정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공식 요청할 계획이다.
안 시장은 "추가로 지정될 경제자유구역은 공항과 항만을 활용한 물류 중심의 인천과 제조업 중심의 개성공단,금융 및 고급인력이 풍부한 서울 등 황금 삼각지대 산업벨트와 연계해 시너지 효과가 예상된다"며 "통일 한국의 미래 수요에 대비한 산업ㆍ물류용지를 미리 확보하는 의미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인천 경제자유구역은 송도ㆍ영종ㆍ청라지구 등 3개 지구 209㎢로 한창 개발 중이다.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