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 추가협상 타결] "정부를 믿고 이제 촛불 끄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관련된 정부의 추가 협상 결과가 발표되자 상당수 시민들은 22일 "협상단이 어려운 여건에서도 재협상 수준의 결과를 이끌어냈다"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보수 시민단체들도 "추가 협상 결과에 상당한 진척이 있다"며 "이제는 경제 살리기에 몰두해야 할 때"라고 촛불집회 중단을 촉구했다.
촛불집회에 여러차례 참석했다는 직장인 허유진씨(28)는 "협상 내용에 모두 만족하진 않지만 정부가 노력한 것은 알 수 있다"며 "이젠 정부를 믿고 촛불을 꺼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자영업에 종사하고 있는 김종암씨(51)도 "추가 협상이 재협상에 준하는 결과를 낸 것 같다"고 평가하고 "무조건 길거리에 나갈 것이 아니라 신중히 추이를 지켜볼 때"라는 의견을 내놨다.
추가 협상에 비판적인 의견이 우세한 인터넷 공간에서도 이번 협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의견이 늘었다.
'kootdoot'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는 네티즌은 "국민이 대통령의 발목을 잡고 늘어져 FTA 등 좋은 기회를 놓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제발 고질적인 분열을 그만하고 모두들 제자리로 돌아가자"고 호소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여론조사에도 그대로 나타났다.
지난 20일 중앙 선데이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통령이) 사과와 반성을 하고 잘 하겠다고 약속했으므로 믿고 지켜볼 생각'이라는 의견이 60.4%에 이르렀다.
'내용이 미흡하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견은 35.9%에 불과했다.
'촛불집회를 그만해야 한다'는 쪽과 '계속해야 한다'는 쪽도 58% 대 38%로 '그만해야 한다'는 쪽이 우세했다.
하지만 일부 시민과 광우병 국민대책회의 등 시민단체들은 "재협상만이 유일한 대안"이라며 여전히 촛불집회 강행 방침을 밝혀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둘러싼 갈등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회사원 안윤수씨(38)는 "협상 결과 발표를 들어보니 등뼈와 내장을 그대로 수입한다는 것 아니냐"며 "사실상 노무현 정부가 30개월 미만의 살코기만 수입하겠다고 한 것보다 후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전성환 한국YMCA전국연맹 정책기획국장도 "정부가 이번 추가 협상을 통해 머리 부위 등 일부 특정위험물질 추가 제거를 얻어내긴 했지만 이는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다"며 "(추가 협상은) 기본적으로 미흡한 협상"이라고 말했다.
이재철 기자 eesang69@hankyung.com
보수 시민단체들도 "추가 협상 결과에 상당한 진척이 있다"며 "이제는 경제 살리기에 몰두해야 할 때"라고 촛불집회 중단을 촉구했다.
촛불집회에 여러차례 참석했다는 직장인 허유진씨(28)는 "협상 내용에 모두 만족하진 않지만 정부가 노력한 것은 알 수 있다"며 "이젠 정부를 믿고 촛불을 꺼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자영업에 종사하고 있는 김종암씨(51)도 "추가 협상이 재협상에 준하는 결과를 낸 것 같다"고 평가하고 "무조건 길거리에 나갈 것이 아니라 신중히 추이를 지켜볼 때"라는 의견을 내놨다.
추가 협상에 비판적인 의견이 우세한 인터넷 공간에서도 이번 협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의견이 늘었다.
'kootdoot'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는 네티즌은 "국민이 대통령의 발목을 잡고 늘어져 FTA 등 좋은 기회를 놓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제발 고질적인 분열을 그만하고 모두들 제자리로 돌아가자"고 호소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여론조사에도 그대로 나타났다.
지난 20일 중앙 선데이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통령이) 사과와 반성을 하고 잘 하겠다고 약속했으므로 믿고 지켜볼 생각'이라는 의견이 60.4%에 이르렀다.
'내용이 미흡하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견은 35.9%에 불과했다.
'촛불집회를 그만해야 한다'는 쪽과 '계속해야 한다'는 쪽도 58% 대 38%로 '그만해야 한다'는 쪽이 우세했다.
하지만 일부 시민과 광우병 국민대책회의 등 시민단체들은 "재협상만이 유일한 대안"이라며 여전히 촛불집회 강행 방침을 밝혀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둘러싼 갈등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회사원 안윤수씨(38)는 "협상 결과 발표를 들어보니 등뼈와 내장을 그대로 수입한다는 것 아니냐"며 "사실상 노무현 정부가 30개월 미만의 살코기만 수입하겠다고 한 것보다 후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전성환 한국YMCA전국연맹 정책기획국장도 "정부가 이번 추가 협상을 통해 머리 부위 등 일부 특정위험물질 추가 제거를 얻어내긴 했지만 이는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다"며 "(추가 협상은) 기본적으로 미흡한 협상"이라고 말했다.
이재철 기자 eesang6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