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일자리 전쟁중] (3) 유연성의 마술 ‥ 덴마크 제약사, 30명 해고후 신규투자로 100명 추가고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는 지금 일자리 전쟁중] (3) 유연성의 마술 ‥ 덴마크 제약사, 30명 해고후 신규투자로 100명 추가고용
덴마크 코펜하겐 북쪽 위성도시 바우스베아에 위치한 세계 최대 인슐린 제약사 노보노디스크.이 회사는 지난해 초 핵심 연구원 등 30여명을 해고했다.
해고 사유는 신기술 개발을 위한 인력 교체.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위해 종전까지 연구해 왔던 '소(小) 화학분자 기법'을 '대(大) 바이오분자 기법'으로 전환한 데 따른 것이었다.
이 회사는 그러나 채 2개월도 되지 않아 100여명을 새로 채용했다.
새로운 연구 분야에 더 많은 고급 두뇌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노보노디스크의 라스 크리스 라슨 수석부사장은 "해고에 대한 어려움이 없어 새로운 투자가 보다 손쉽다"며 "이는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드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실업률 1.9%(덴마크 통계청),사실상의 완전 고용.' 올 1/4분기 덴마크 고용지표다.
7% 선(2007년 기준)인 유럽연합(EU) 평균과 비교가 안될 정도다.
불과 3년 전인 2005년(5.7%)에 비해서도 3.8%포인트나 낮아졌다.
경제 교과서에나 나오는 '완전 고용'의 비결은 무엇일까.
해답은 바로 유연한 고용시장,탄탄한 사회안전망,지속적인 직업훈련의 유기적인 결합에 있었다.
이른바 '황금 삼각형'(The Golden Triangle) 구조다.
덴마크의 또 다른 대표 기업인 장난감 회사 레고.인구 8000여명의 소도시 빌룬트에 자리잡은 이 회사는 인터넷 게임 등장 등의 영향으로 2004년 위기를 맞았다.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된 누적 적자로 미국 공장 문을 닫는 등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때 레고를 구한 것은 고용시장의 유연성이었다.
덴마크 내 8000여명의 직원 중 3500여명을 별 어려움 없이 해고하면서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신기술 개발,생산시설 이전,경영난 등으로 인력 감축이 필요하면 재직 기간에 따라 3~6개월 전에 미리 통보만 하면 되는 덴마크 고용시스템에 근거한 것이었다.
레고의 얀 크리스텐슨 홍보매니저는 "신제품 개발 등에 나서면서 회사도 되살아났고 덴마크 내 직원수도 5000명 이상으로 다시 늘어났다"고 전했다.
공무원도 예외가 아니다.
덴마크 고용부의 라이크 크리스 한슨 고문은 "나라 살림이 어려워질 경우 공무원도 3~6개월 사전 통보절차만 거치면 바로 해고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해고와 고용의 선순환이 이상적으로 돌아가는 배경에는 사회안전망이 자리하고 있다.
실직자는 지속적인 구직활동에 나설 경우 최대 4년까지 종전 임금의 90%에 달하는 실업수당을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덴마크 국민들은 연봉의 50~68%에 달하는 소득세를 감내한다.
대신 기업에 대해서는 고용 활동에 적극 나서도록 하기위해 법인세 25% 이외에는 다른 세금이 거의 붙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들어 덴마크 실업수당은 안전장치를 넘어 실직자들을 일자리 전선으로 내모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은 실업수당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 1주일에 한 번 이상 구직활동에 나선 사실을 보여주는 증명서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직영 '직업훈련센터'에 보내야 한다.
고용부의 한슨 고문은 "구직활동을 계속하지 않으면 실업수당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구조"라며 "때문에 실직자의 90%는 1년 안에 다시 직업을 잡는다"고 말했다.
시장의 수요를 반영하는 직업훈련 시스템도 덴마크 고용률을 높이는 일등 공신이다.
전국 91개 통합직업훈련센터는 실직자들이 언제든지 찾아가 재취업을 위해 새로운 기능을 익힐 수 있는 배움터 역할을 하고 있다.
실직자들의 이력 등을 통합 관리하면서 실직자와 기업을 직접 연결시켜주는 컨설턴트 기능도 담당한다.
덴마크가 실직자들의 재취업을 위해 매년 투자하는 교육훈련 및 인센티브 비용은 국내총생산(GDP)의 1.52%에 이르고 있다.
한국의 0.31%에 비해 5배 규모다.
이처럼 자유로운 해고와 고용,일자리 수요ㆍ공급 해결시스템 등은 덴마크를 유럽에서 가장 역동적인 고용시장으로 변모시키고 있다.
덴마크에서는 지난해 시장 변화에 따라 25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25만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겨났다.
덴마크 고용부에 따르면 여기에다 직장 이동,신규 일자리 창출 등을 더할 경우 연간 80만여개의 일자리가 시장에 나오고 있다.
덴마크 직장인도 새 일자리로 옮기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실제 직장 이동에 대해 찬성 비율이 EU 평균(40%)보다 훨씬 높은 72%에 달하고 있다.
고용시장 역동성은 경제 시스템에 고스란히 전달되고 있다.
실업률은 유럽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기업들이 구인난에 시달릴 정도다.
2003년 3만9209달러였던 국민 1인당 GDP는 해마다 큰 폭으로 상승,지난해 5만7021달러에 달했다.
덴마크 고용자협회(DA)의 헤닝 가드 수석자문역은 "덴마크도 1990년대 초반 실업률이 10%에 육박했다"며 "하지만 자유로운 해고 등을 근간으로 하는 플렉시큐리티(Flexicurity:flexible과 security의 합성어ㆍ유연안전성) 정책을 1994년부터 추진하면서 경제 여건이 빠르게 좋아졌다"고 설명했다.
해고 사유는 신기술 개발을 위한 인력 교체.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위해 종전까지 연구해 왔던 '소(小) 화학분자 기법'을 '대(大) 바이오분자 기법'으로 전환한 데 따른 것이었다.
이 회사는 그러나 채 2개월도 되지 않아 100여명을 새로 채용했다.
새로운 연구 분야에 더 많은 고급 두뇌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노보노디스크의 라스 크리스 라슨 수석부사장은 "해고에 대한 어려움이 없어 새로운 투자가 보다 손쉽다"며 "이는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드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실업률 1.9%(덴마크 통계청),사실상의 완전 고용.' 올 1/4분기 덴마크 고용지표다.
7% 선(2007년 기준)인 유럽연합(EU) 평균과 비교가 안될 정도다.
불과 3년 전인 2005년(5.7%)에 비해서도 3.8%포인트나 낮아졌다.
경제 교과서에나 나오는 '완전 고용'의 비결은 무엇일까.
해답은 바로 유연한 고용시장,탄탄한 사회안전망,지속적인 직업훈련의 유기적인 결합에 있었다.
이른바 '황금 삼각형'(The Golden Triangle) 구조다.
덴마크의 또 다른 대표 기업인 장난감 회사 레고.인구 8000여명의 소도시 빌룬트에 자리잡은 이 회사는 인터넷 게임 등장 등의 영향으로 2004년 위기를 맞았다.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된 누적 적자로 미국 공장 문을 닫는 등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때 레고를 구한 것은 고용시장의 유연성이었다.
덴마크 내 8000여명의 직원 중 3500여명을 별 어려움 없이 해고하면서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신기술 개발,생산시설 이전,경영난 등으로 인력 감축이 필요하면 재직 기간에 따라 3~6개월 전에 미리 통보만 하면 되는 덴마크 고용시스템에 근거한 것이었다.
레고의 얀 크리스텐슨 홍보매니저는 "신제품 개발 등에 나서면서 회사도 되살아났고 덴마크 내 직원수도 5000명 이상으로 다시 늘어났다"고 전했다.
공무원도 예외가 아니다.
덴마크 고용부의 라이크 크리스 한슨 고문은 "나라 살림이 어려워질 경우 공무원도 3~6개월 사전 통보절차만 거치면 바로 해고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해고와 고용의 선순환이 이상적으로 돌아가는 배경에는 사회안전망이 자리하고 있다.
실직자는 지속적인 구직활동에 나설 경우 최대 4년까지 종전 임금의 90%에 달하는 실업수당을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덴마크 국민들은 연봉의 50~68%에 달하는 소득세를 감내한다.
대신 기업에 대해서는 고용 활동에 적극 나서도록 하기위해 법인세 25% 이외에는 다른 세금이 거의 붙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들어 덴마크 실업수당은 안전장치를 넘어 실직자들을 일자리 전선으로 내모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은 실업수당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 1주일에 한 번 이상 구직활동에 나선 사실을 보여주는 증명서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직영 '직업훈련센터'에 보내야 한다.
고용부의 한슨 고문은 "구직활동을 계속하지 않으면 실업수당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구조"라며 "때문에 실직자의 90%는 1년 안에 다시 직업을 잡는다"고 말했다.
시장의 수요를 반영하는 직업훈련 시스템도 덴마크 고용률을 높이는 일등 공신이다.
전국 91개 통합직업훈련센터는 실직자들이 언제든지 찾아가 재취업을 위해 새로운 기능을 익힐 수 있는 배움터 역할을 하고 있다.
실직자들의 이력 등을 통합 관리하면서 실직자와 기업을 직접 연결시켜주는 컨설턴트 기능도 담당한다.
덴마크가 실직자들의 재취업을 위해 매년 투자하는 교육훈련 및 인센티브 비용은 국내총생산(GDP)의 1.52%에 이르고 있다.
한국의 0.31%에 비해 5배 규모다.
이처럼 자유로운 해고와 고용,일자리 수요ㆍ공급 해결시스템 등은 덴마크를 유럽에서 가장 역동적인 고용시장으로 변모시키고 있다.
덴마크에서는 지난해 시장 변화에 따라 25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25만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겨났다.
덴마크 고용부에 따르면 여기에다 직장 이동,신규 일자리 창출 등을 더할 경우 연간 80만여개의 일자리가 시장에 나오고 있다.
덴마크 직장인도 새 일자리로 옮기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실제 직장 이동에 대해 찬성 비율이 EU 평균(40%)보다 훨씬 높은 72%에 달하고 있다.
고용시장 역동성은 경제 시스템에 고스란히 전달되고 있다.
실업률은 유럽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기업들이 구인난에 시달릴 정도다.
2003년 3만9209달러였던 국민 1인당 GDP는 해마다 큰 폭으로 상승,지난해 5만7021달러에 달했다.
덴마크 고용자협회(DA)의 헤닝 가드 수석자문역은 "덴마크도 1990년대 초반 실업률이 10%에 육박했다"며 "하지만 자유로운 해고 등을 근간으로 하는 플렉시큐리티(Flexicurity:flexible과 security의 합성어ㆍ유연안전성) 정책을 1994년부터 추진하면서 경제 여건이 빠르게 좋아졌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