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 측정 오차 1%로 낮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DNA 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분석기술 및 인증표준물질이 개발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바이오측정표준연구팀(팀장 박상열)이 고도의 정확성을 자랑하는 '유도플라스마-발광분석법(ICP-OES)'을 DNA 분석에 적용해 1% 수준의 측정오차만 갖는 DNA 분석기술 및 인증표준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측정법은 DNA 염기마다 한 개씩 존재하는 인(P) 원자를 유도플라스마-발광분석법으로 정량해 DNA 양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으로 기존 자외선 흡광법을 사용하는 DNA 측정법의 측정오차가 10∼30% 수준에 달한 문제점을 해결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바이오측정표준연구팀(팀장 박상열)이 고도의 정확성을 자랑하는 '유도플라스마-발광분석법(ICP-OES)'을 DNA 분석에 적용해 1% 수준의 측정오차만 갖는 DNA 분석기술 및 인증표준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측정법은 DNA 염기마다 한 개씩 존재하는 인(P) 원자를 유도플라스마-발광분석법으로 정량해 DNA 양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으로 기존 자외선 흡광법을 사용하는 DNA 측정법의 측정오차가 10∼30% 수준에 달한 문제점을 해결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