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 미비땐 사회비용 수십조원" … 한경 컨퍼런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미국산 쇠고기 수입 등으로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한 가운데 정부가 단속 등 사후관리보다는 사전예방을 통한 식품안전 정책을 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신문사가 기초질서 확립 캠페인의 일환으로 27일 본사 다산홀에서 개최한 '글로벌 경제시대의 식품안전 확보방안' 컨퍼런스에서 이재용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정책과 과장은 "제대로 된 식품안전 관리기준을 정립하면 천문학적 정치·경제·사회적 비용발생을 사전 예방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의 식품안전 관련 관리기준과 중장기 정책방향'이라는 주제발표에 나선 이 과장은 1996년 영국에서 광우병이 발생했을 때 식품안전 대책이 없었던 영국 정부가 지불해야 했던 경제적 손실액이 380억달러이며 국가신인도도 추락했다고 지적했다.
이 과장은 "기존의 정부 주도식 일방적 안전관리 패러다임은 쌍방향 의사소통의 파트너십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2012년까지 '유해물질 5개년 계획'을 세워 김치와 장류 등 500개 식품을 선정해 특별관리를 하는 등 전반적 식품안전에 대한 관리대책을 강화하고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중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품위생정책팀 팀장은 '글로벌시대에 부합되는 국내 식품산업의 안전관리 활동과 대응전략' 발표에서 "식품 원료의 수입 의존도가 높은 데다 영세한 식품업체들이 많아 위해물질에 대한 대처능력이 부족한 것이 현재 국내 식품안전 산업의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자태그(RFID) 등 국내의 정보기술(IT)을 활용,식품유통체계 혁신을 꾀해 시장개방에 대비한 업계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상민 한국경제신문 사장은 환영사에서 "최근 촛불시위는 식품안전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보여주는 예"라며 "먹거리 이슈는 위생문제뿐만 아니라 과학과 통상문제까지 포함하는 복합적 사안이 됐기 때문에 식품안전의 패러다임도 바뀌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사가 기초질서 확립 캠페인의 일환으로 27일 본사 다산홀에서 개최한 '글로벌 경제시대의 식품안전 확보방안' 컨퍼런스에서 이재용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정책과 과장은 "제대로 된 식품안전 관리기준을 정립하면 천문학적 정치·경제·사회적 비용발생을 사전 예방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의 식품안전 관련 관리기준과 중장기 정책방향'이라는 주제발표에 나선 이 과장은 1996년 영국에서 광우병이 발생했을 때 식품안전 대책이 없었던 영국 정부가 지불해야 했던 경제적 손실액이 380억달러이며 국가신인도도 추락했다고 지적했다.
이 과장은 "기존의 정부 주도식 일방적 안전관리 패러다임은 쌍방향 의사소통의 파트너십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2012년까지 '유해물질 5개년 계획'을 세워 김치와 장류 등 500개 식품을 선정해 특별관리를 하는 등 전반적 식품안전에 대한 관리대책을 강화하고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중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품위생정책팀 팀장은 '글로벌시대에 부합되는 국내 식품산업의 안전관리 활동과 대응전략' 발표에서 "식품 원료의 수입 의존도가 높은 데다 영세한 식품업체들이 많아 위해물질에 대한 대처능력이 부족한 것이 현재 국내 식품안전 산업의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자태그(RFID) 등 국내의 정보기술(IT)을 활용,식품유통체계 혁신을 꾀해 시장개방에 대비한 업계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상민 한국경제신문 사장은 환영사에서 "최근 촛불시위는 식품안전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를 보여주는 예"라며 "먹거리 이슈는 위생문제뿐만 아니라 과학과 통상문제까지 포함하는 복합적 사안이 됐기 때문에 식품안전의 패러다임도 바뀌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