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사랑 생애설계] 적당한 보험가입금액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Q 현재 직장생활 7년차 대리 김종신(35)입니다.
현재까지 준비한 자산으로는 예금 2000만원과 1억원의 종신보험이 있습니다.
당장 나에게 불행한 일이 발생할 경우 유족에게 필요한 자금이 얼마인지,종신보험으로 얼마만큼 가입해야 유족에게 충분한 보험금을 줄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가족사항:배우자 32세 가정주부,아들 8세/딸 6세,연봉:4000만원,현재 연간생활비:3000만원,퇴직 예상연령:58세,막내 독립연령:25세,희망 부양비:연봉의 80%,물가상승률:3%,투자수익률:5%,현재 부채 1억원)
A 종신보험은 가장의 경제적 가치를 지킬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입니다.
적정한 보험가입 금액은 연령과 생활양식,준비자산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전문가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본인이 직접 가늠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해 드립니다.
먼저 생애가치 방법입니다.
가장의 부양비를 산출한 후 현재까지 준비된 자산을 차감해 필요금액을 산출합니다.
예를 들면 김종신씨의 연봉 4000만원을 가족의 부양비율 80%로 계산하고 은퇴 전(24년)까지 5% 투자수익률로 할인하면 4억6000여만원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준비된 자산(1억2000만원)을 공제하면 가입금액은 3억4000만원 정도 됩니다.
다음으로 니즈분석 방법인데 필요자금(유족의 희망소득-예상소득)을 산출한 후 현재까지 준비된 자산을 차감해 계산합니다.
이 방법으로 계산한 금액은 3억4000만원 정도입니다.
연봉의 5배 범위 내에서 보장금액을 준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보험 선진국인 일본은 평균적으로 연봉의 3배,미국은 연봉의 5배 범위 내에서 보장금액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업가는 기업의 승계를 위해 필요한 상속세 등을 생명보험으로 준비하는데 연간 순이익의 5배 범위 내에서 종신보험을 가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순부채+생활비×3년'으로 보험가입 금액을 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현재 자녀가 독립했을 경우 많이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위의 예로 계산해 보면 1억원+3000만원×3=1억9000만원이 됩니다.
소개한 방법을 적용하면 적정한 종신보험 보장금액은 2억원에서 3억4000만원에 이릅니다.
변액종신보험 20년 납입을 가정하면 보험료는 30만원에서 45만원 정도가 필요합니다.
60세까지 보장받는 정기보험을 선택하면 보험료는 10만원에서 15만원 정도면 됩니다.
가족생활 보장을 위한 보험가입금액은 유가족의 안정된 생활이 가능한 자금규모와 납입 가능한 적정 보험료 등을 감안해 본인에게 맞는 방법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하지만 필요보장금액 산출과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가인 FP의 조언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교보생명 재무설계센터 웰스메니저 김효열>
현재까지 준비한 자산으로는 예금 2000만원과 1억원의 종신보험이 있습니다.
당장 나에게 불행한 일이 발생할 경우 유족에게 필요한 자금이 얼마인지,종신보험으로 얼마만큼 가입해야 유족에게 충분한 보험금을 줄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가족사항:배우자 32세 가정주부,아들 8세/딸 6세,연봉:4000만원,현재 연간생활비:3000만원,퇴직 예상연령:58세,막내 독립연령:25세,희망 부양비:연봉의 80%,물가상승률:3%,투자수익률:5%,현재 부채 1억원)
A 종신보험은 가장의 경제적 가치를 지킬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입니다.
적정한 보험가입 금액은 연령과 생활양식,준비자산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전문가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본인이 직접 가늠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해 드립니다.
먼저 생애가치 방법입니다.
가장의 부양비를 산출한 후 현재까지 준비된 자산을 차감해 필요금액을 산출합니다.
예를 들면 김종신씨의 연봉 4000만원을 가족의 부양비율 80%로 계산하고 은퇴 전(24년)까지 5% 투자수익률로 할인하면 4억6000여만원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준비된 자산(1억2000만원)을 공제하면 가입금액은 3억4000만원 정도 됩니다.
다음으로 니즈분석 방법인데 필요자금(유족의 희망소득-예상소득)을 산출한 후 현재까지 준비된 자산을 차감해 계산합니다.
이 방법으로 계산한 금액은 3억4000만원 정도입니다.
연봉의 5배 범위 내에서 보장금액을 준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보험 선진국인 일본은 평균적으로 연봉의 3배,미국은 연봉의 5배 범위 내에서 보장금액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업가는 기업의 승계를 위해 필요한 상속세 등을 생명보험으로 준비하는데 연간 순이익의 5배 범위 내에서 종신보험을 가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순부채+생활비×3년'으로 보험가입 금액을 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현재 자녀가 독립했을 경우 많이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위의 예로 계산해 보면 1억원+3000만원×3=1억9000만원이 됩니다.
소개한 방법을 적용하면 적정한 종신보험 보장금액은 2억원에서 3억4000만원에 이릅니다.
변액종신보험 20년 납입을 가정하면 보험료는 30만원에서 45만원 정도가 필요합니다.
60세까지 보장받는 정기보험을 선택하면 보험료는 10만원에서 15만원 정도면 됩니다.
가족생활 보장을 위한 보험가입금액은 유가족의 안정된 생활이 가능한 자금규모와 납입 가능한 적정 보험료 등을 감안해 본인에게 맞는 방법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하지만 필요보장금액 산출과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가인 FP의 조언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교보생명 재무설계센터 웰스메니저 김효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