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최저임금 10%이상 오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의 각 지방 정부가 잇따라 최저 임금을 10% 이상씩 올리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진출 국내 기업들의 경영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고공 행진 중인 물가가 임금을 끌어올리고 이에 따라 다시 물가가 뛰는 악순환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 베이징시는 다음 달 1일부터 최저 임금을 800위안(12만원)으로 10% 올린다고 29일 발표했다.
선전시는 이에 앞서 최저 임금을 월 1000위안(15만원)으로 17.6% 상향 조정해 7월부터 적용키로 결정했다.
지난 2월 최저 임금을 월 860위안(12만9000원)으로 올렸던 광둥성은 만성적인 인력난 해소를 위해 선전 지역과의 임금 격차를 축소하거나 아예 선전보다 높게 만드는 고임금 정책을 추진키로 결정했다.
따라서 연내 최저 임금을 한 차례 더 10% 이상 올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다롄 샤먼 저장 허난 등 올 들어 최저 임금을 조정하지 않은 절반 이상의 성과 시도 조만간 최저 임금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최저 임금은 정규 근로시간 임금이 대상이다.
따라서 최저 임금이 인상되면 최저 임금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각종 복지 및 잔업 수당 등도 함께 오른다.
선전의 경우 최저 임금이 850위안(12만7500원)에서 다음 달부터 1000위안으로 뛰면 근로자들이 받는 월평균 급여는 1150~1400위안(17만2500원~21만원)에서 1300~1600위안(19만5000원~24만원) 정도로 올라간다.
김명신 KOTRA 베이징무역관 과장은 "중국 정부가 농촌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면서 도ㆍ농 간 소득 격차가 감소해 농촌 인력이 도시의 공장으로 가지 않으려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며 "도시지역 근로자 구인난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데다 물가 상승으로 기존 근로자들의 임금인상 요구도 거세지고 있어 각 지방 정부가 하반기에 최저 임금을 대폭 올릴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하지만 임금 상승은 물가를 자극함으로써 중국 정부의 긴축 정책을 더 강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
이에 따라 중국 진출 국내 기업들의 경영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고공 행진 중인 물가가 임금을 끌어올리고 이에 따라 다시 물가가 뛰는 악순환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 베이징시는 다음 달 1일부터 최저 임금을 800위안(12만원)으로 10% 올린다고 29일 발표했다.
선전시는 이에 앞서 최저 임금을 월 1000위안(15만원)으로 17.6% 상향 조정해 7월부터 적용키로 결정했다.
지난 2월 최저 임금을 월 860위안(12만9000원)으로 올렸던 광둥성은 만성적인 인력난 해소를 위해 선전 지역과의 임금 격차를 축소하거나 아예 선전보다 높게 만드는 고임금 정책을 추진키로 결정했다.
따라서 연내 최저 임금을 한 차례 더 10% 이상 올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다롄 샤먼 저장 허난 등 올 들어 최저 임금을 조정하지 않은 절반 이상의 성과 시도 조만간 최저 임금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최저 임금은 정규 근로시간 임금이 대상이다.
따라서 최저 임금이 인상되면 최저 임금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각종 복지 및 잔업 수당 등도 함께 오른다.
선전의 경우 최저 임금이 850위안(12만7500원)에서 다음 달부터 1000위안으로 뛰면 근로자들이 받는 월평균 급여는 1150~1400위안(17만2500원~21만원)에서 1300~1600위안(19만5000원~24만원) 정도로 올라간다.
김명신 KOTRA 베이징무역관 과장은 "중국 정부가 농촌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면서 도ㆍ농 간 소득 격차가 감소해 농촌 인력이 도시의 공장으로 가지 않으려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며 "도시지역 근로자 구인난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데다 물가 상승으로 기존 근로자들의 임금인상 요구도 거세지고 있어 각 지방 정부가 하반기에 최저 임금을 대폭 올릴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하지만 임금 상승은 물가를 자극함으로써 중국 정부의 긴축 정책을 더 강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