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은 30일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를 내세워 과격 시위를 주도해 온 광우병국민대책회의와 참여연대,한국진보연대 사무실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임채진 검찰총장은 이날 서울 대검찰청에서 긴급 회의를 갖고 "불법과 폭력으로 얼룩진 촛불집회 사태에 이제는 종지부를 찍겠다"고 선언했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이날 오전 6시께부터 수사관 50여명을 보내 서울 종로구 통인동 참여연대 1층에 위치한 국민대책회의 사무실과 2~5층 참여연대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스피커 등 집회용 장비를 압수했다.

또 비슷한 시각 경찰은 서울 영등포구 진보연대 사무실도 압수수색했다.

대책회의와 참여연대 관계자들은 새벽에 전격 단행된 압수수색에 크게 반발했다.

경찰은 대책회의 측이 참여연대 건물 1층 출입문을 계속 열어주지 않자 전기톱을 이용해 출입문 자물쇠를 부순 뒤 1층 대책회의 상황실로 진입했다.

압수수색이 진행되는 동안 참여연대 건물 주변에는 전경 100여명을 배치해 출입을 철저히 통제했다.

경찰은 상황실 안에 있던 현수막 마스크 피켓 등의 장비를 통째로 압수했으며 대책회의 관계자들은 경찰과 거친 승강이를 벌였다.

급히 상황실을 찾은 참여연대 관계자 등은 "1층을 대책회의가 잠시 빌려쓰고 있기 때문에 물품을 모두 압수하면 안 된다"며 참여연대 관련 자료를 돌려줄 것을 요구했고 경찰은 20여분간 옥신각신하다 이들 자료를 돌려주기도 했다.

민변 소속 변호사 2명도 압수수색의 문제점을 놓고 경찰과 설전을 벌였다.

경찰은 비슷한 시간대에 수사관 40여명을 보내 진보연대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면서 이미 체포영장이 발부돼 있던 황순원 진보연대 민주인권국장을 연행했다.

경찰은 사무실 내 PC와 각종 서류 등을 확보했으며 별다른 마찰 없이 30여분 만에 압수수색을 마무리했다.

압수수색을 당한 두 단체를 비롯해 한국YMCA전국연맹 등 진보성향 시민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의 압수수색을 비난했다.

임 총장은 경찰의 압수수색에 힘을 보탰다.

그는 이날 전국 일선 검찰청 형사1부장 및 공안부장 66명을 불러 '법질서 확립을 위한 전국 부장검사 회의'를 열고 "불법과 폭력으로 얼룩진 촛불시위에 대해 이제 종지부를 찍겠다"며 "법이 훼손되고 질서가 무너진 서울 도심을 평화로운 공간으로 되돌려 놓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위험한 물건으로 경찰을 공격하는 과격시위 주도 세력과 선량한 시민의 등 뒤에 숨어 불법과 폭력을 저지르는 전문 시위꾼을 끝까지 추적해 구속 등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이어 "인터넷을 통해 근거 없는 허위 정보를 확산시켜 사회적 갈등과 반목을 증폭시키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다"며 "무분별한 주장과 선동으로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이버 폭력에 대해서 엄정하게 대처하고 외국산 쇠고기 유통과 관련해 원산지 허위 표시 사범을 철저히 단속하라"고 주문했다.

이날 회의에서 부장검사들은 쇠파이프 사용,투석,경찰버스 손괴 및 방화,기자.경찰관 감금 및 폭행 등 극렬 시위자와 배후자 등을 끝까지 추적해 구속수사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검찰은 경찰 피해상황이 29일 현재 전의경 372명 부상(30명 중상),경찰버스 111대 파손,경찰장비 1512점 손상 등이고 연행된 시위 참가자는 구속 10명,불구속 입건 706명,즉심회부 56명,훈방 25명,조사 중 185명 등 총 982명이라고 설명했다.

검찰은 또 민주노총이 2일 실시 예정인 총파업을 근로조건 개선과 무관한 '불법 정치파업'으로 규정하고 쇠고기운송 집단방해 등 행위자를 원칙적으로 구속수사하겠다고 밝혔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