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 결국 '금속노조 거수기' 전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속노조 산하 현대자동차 지부가 30일 민주노총과 금속노조 총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엄정 대응키로 한 정부의 방침에도 불구하고 예정대로 총파업 동참을 결의했다.
노조는 30일 오후 임시대의원대회를 열고 쟁의대책위를 구성한 후 금속노조의 파업방침에 따라 2일 총파업일에 주·야간조가 각각 2시간씩 부분파업을 벌이기로 했다.
노동부는 현대차 노조의 파업을 명백한 불법으로 규정짓고 엄정 대처키로 했다.
현대차도 "임금협상도 한번 해보지 않은 채 노조가 조합원들을 금속노조의 정치파업으로 내몰고 있다"면서 파업을 주도한 노조 간부들을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소키로 했다.
노조 지도부의 이 같은 파업 강행 방침과 관련,"현대차가 또 다시 불법파업의 악순환에 빠져 회사는 물론 조합원들이 정신적ㆍ물질적으로 큰 피해를 입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현장 조합원들 사이에 확산되고 있다.
이미 민노총 쇠고기 총파업을 부결(금속노조 전체적으로는 가결)시키는 등 정치파업에 심한 염증을 느낀 조합원들은 "이번 금속노조 파업에 67%의 지지를 보낸 것은 민노총 쇠고기 파업에 힘을 보태라는 게 아니라 지금까지 금속노조 중앙교섭에 매달려 단 한번도 갖지 못한 임금교섭을 더욱 충실히 이행하라는 뜻이 담겨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그러나 이 같은 조합원들의 반파업 정서에는 아랑곳없이 오는 4일을 노사 재교섭을 위한 마지막 시한으로 정하고 회사 측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노조는 이날 회사 측과 가진 7차 대각선 교섭에서 회사 측이 금속노조의 중앙교섭 요구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파업의 강도를 한층 높이겠다고 경고했다.
노조 측은 "일단 조합원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1일부터 임금교섭을 위한 노사 간 실무협상을 갖기로 했다"면서 "하지만 회사 측이 끝까지 중앙교섭 요구안에 대한 전향적 수용자세를 보이지 않을 경우 임금 본교섭은 결코 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금속노조 중앙교섭 요구안을 현대차 혼자서 받아들일 수 없는 현대차로선 이 같은 노조 측 주장에 곤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현대차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인정과 최저임금 보장 등은 금속노조 내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업장 간,업종 간 등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기 때문에 현대차 혼자서 협상할 문제가 되지 못한다"면서 "자동차 관련 문제는 앞으로 자동차 4사가 참여하는 자동차 실무협의회 차원에서 풀어야 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따라 4일 노사가 다시 협상을 갖더라도 중앙교섭을 둘러싼 입장차를 좁히지 못할 경우 노사 간 추후 교섭은 파행이 불가피해 보인다.
외형상으로 현대차 노조의 이 같은 파업 전략은 그동안 갖지 못한 임금협상과 관련해 실무교섭을 갖기로 한 만큼 다소 유연한 협상전략으로 보이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금속노조의 정치파업 전략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금속노조도 2일 총파업을 벌이면서 오는 4일까지 기아차 등 나머지 자동차 3사를 비롯한 금속사업장 경영진 전부에 중앙교섭 수용의지를 분명히 밝힐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금속노조는 사용자 측이 중앙교섭에 대한 수용의지를 보이지 않을 경우 민노총과 연계해 이달 말까지 하투동력을 계속 이어간다는 방침이어서 사실상 금속노조 최대 노동조직인 현대차 노조가 사실상 금속노조의 정치파업 투쟁의 거수기 역할을 하고 있다는 비난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민노총과 금속노조의 이 같은 릴레이 정치파업 전략이 계획대로 맞아떨어질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현대차 노조 지도부에 대한 현장 조합원들의 임금협상에 대한 요구 압력이 그 어느 때보다 높기 때문이다.
현대차 지부 장규호 공보부장은 "노사 간의 협상이 지지부진하고 있는 상황을 원치 않아 실무협상을 통해 지부교섭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현대차 윤해모 지부장도 "15만 금속노조 사업장이 총파업을 하지 않으면 현대차도 파업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조합원들에게 공개 약속한 바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민노총 전위세력을 자임해 온 현대차 노조가 이번 정치파업 선봉 자리에서 한발짝 물러설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는 현실이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노조는 30일 오후 임시대의원대회를 열고 쟁의대책위를 구성한 후 금속노조의 파업방침에 따라 2일 총파업일에 주·야간조가 각각 2시간씩 부분파업을 벌이기로 했다.
노동부는 현대차 노조의 파업을 명백한 불법으로 규정짓고 엄정 대처키로 했다.
현대차도 "임금협상도 한번 해보지 않은 채 노조가 조합원들을 금속노조의 정치파업으로 내몰고 있다"면서 파업을 주도한 노조 간부들을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소키로 했다.
노조 지도부의 이 같은 파업 강행 방침과 관련,"현대차가 또 다시 불법파업의 악순환에 빠져 회사는 물론 조합원들이 정신적ㆍ물질적으로 큰 피해를 입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현장 조합원들 사이에 확산되고 있다.
이미 민노총 쇠고기 총파업을 부결(금속노조 전체적으로는 가결)시키는 등 정치파업에 심한 염증을 느낀 조합원들은 "이번 금속노조 파업에 67%의 지지를 보낸 것은 민노총 쇠고기 파업에 힘을 보태라는 게 아니라 지금까지 금속노조 중앙교섭에 매달려 단 한번도 갖지 못한 임금교섭을 더욱 충실히 이행하라는 뜻이 담겨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그러나 이 같은 조합원들의 반파업 정서에는 아랑곳없이 오는 4일을 노사 재교섭을 위한 마지막 시한으로 정하고 회사 측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노조는 이날 회사 측과 가진 7차 대각선 교섭에서 회사 측이 금속노조의 중앙교섭 요구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파업의 강도를 한층 높이겠다고 경고했다.
노조 측은 "일단 조합원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1일부터 임금교섭을 위한 노사 간 실무협상을 갖기로 했다"면서 "하지만 회사 측이 끝까지 중앙교섭 요구안에 대한 전향적 수용자세를 보이지 않을 경우 임금 본교섭은 결코 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금속노조 중앙교섭 요구안을 현대차 혼자서 받아들일 수 없는 현대차로선 이 같은 노조 측 주장에 곤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현대차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인정과 최저임금 보장 등은 금속노조 내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업장 간,업종 간 등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기 때문에 현대차 혼자서 협상할 문제가 되지 못한다"면서 "자동차 관련 문제는 앞으로 자동차 4사가 참여하는 자동차 실무협의회 차원에서 풀어야 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따라 4일 노사가 다시 협상을 갖더라도 중앙교섭을 둘러싼 입장차를 좁히지 못할 경우 노사 간 추후 교섭은 파행이 불가피해 보인다.
외형상으로 현대차 노조의 이 같은 파업 전략은 그동안 갖지 못한 임금협상과 관련해 실무교섭을 갖기로 한 만큼 다소 유연한 협상전략으로 보이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금속노조의 정치파업 전략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금속노조도 2일 총파업을 벌이면서 오는 4일까지 기아차 등 나머지 자동차 3사를 비롯한 금속사업장 경영진 전부에 중앙교섭 수용의지를 분명히 밝힐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금속노조는 사용자 측이 중앙교섭에 대한 수용의지를 보이지 않을 경우 민노총과 연계해 이달 말까지 하투동력을 계속 이어간다는 방침이어서 사실상 금속노조 최대 노동조직인 현대차 노조가 사실상 금속노조의 정치파업 투쟁의 거수기 역할을 하고 있다는 비난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민노총과 금속노조의 이 같은 릴레이 정치파업 전략이 계획대로 맞아떨어질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현대차 노조 지도부에 대한 현장 조합원들의 임금협상에 대한 요구 압력이 그 어느 때보다 높기 때문이다.
현대차 지부 장규호 공보부장은 "노사 간의 협상이 지지부진하고 있는 상황을 원치 않아 실무협상을 통해 지부교섭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현대차 윤해모 지부장도 "15만 금속노조 사업장이 총파업을 하지 않으면 현대차도 파업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조합원들에게 공개 약속한 바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민노총 전위세력을 자임해 온 현대차 노조가 이번 정치파업 선봉 자리에서 한발짝 물러설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는 현실이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