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앎의 지위를 회복하지 못하는 한 그대들은 결코 권리를 되찾을 수 없다.

왜냐하면 그대들은 어느 때부터인가 사회 내부의 진정한 전투는 더 이상 무기가 아니라 앎에 의해 좌우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채 싸움에서 패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18세기 프랑스의 역사학자 불랭빌리에의 주장이다.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라고 해도 교육이 경쟁력이라는 사실까지 부인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교육이 행복이나 인생의 상한선을 보장하진 않지만 삶의 하한선을 지켜줄 확률은 무시할 수 없는 까닭이다.

아이들의 실력과 인성은 누가 뭐래도 학교에서 어떻게 가르치고 지도하느냐에 달렸다.

공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이유다.

시ㆍ도 교육감은 이런 공교육의 지침 및 운영방향을 좌우한다.

교장 임명권을 비롯한 교원 인사권과 초ㆍ중ㆍ고 교육정책에 관한 집행권 등 막강한 권한을 지닌다.고교 선택권,일제고사,0교시 수업,우열반 편성,방과 후 학교,특목고 신설 또한 교육감의 결정에 달렸다.

문제는 이런 교육감 선출이 '지방교육 자치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직선제로 바뀌었는데도 아는 사람이 극소수라는 사실이다.

7월30일의 서울시 교육감 선거만 해도 그렇다.

연 6조원의 예산을 다루는 자리로 선거비용만 300억원 이상 든다는데도 대다수 시민이 선거 자체를 모른다.

이대로라면 투표율이 15%를 넘지 못하리라는 예측마저 나온다.

후보는 10명 안팎이 될 모양이지만 정책 면에선 양자 대결의 양상이 짙다.

학력 신장과 고교 선택권 확대 등 수월성 교육을 추진한다는 쪽과 초ㆍ중생의 입시 경쟁을 조장할 특목고 등을 반대한다는 등의 평등성을 강조하는 쪽이 그것이다.

교육감에 따라 교육정책의 틀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서울에 앞서 23일엔 전북에서 선거가 이뤄진다.

투표율이 낮으면 대표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건 물론 조직과 돈 대결 양상으로 치달을 가능성도 높다.

교육은 개인과 국가 모두의 미래다.

교육감 선거에 대한 관심과 투표는 국민 된 도리요 책무다.

박성희 수석논설위원 psh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