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보다 안정성 쫓아야..대안 종목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익성보다 안정성 쫓아야..대안 종목은?
인플레이션 여파로 당분간 경제전망이 밝지 않아 수익성보다는 안정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1일 삼성증권은 "6월30일에 발표된 5월 산업생산의 경우 조업일수를 감안할 때 양호했으나 내수와 투자를 감안할 때는 부진했다"며 "1일 발표되는 6월 수출입 동향과 소비자물가 전망도 밝지 못하다"고 말했다.
6월 수출의 경우 전년대비 20.2%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는 5월(26.9%)에 비해 둔화되는 것인 반면 6월 수입은 전년대비 34.1% 증가하며 5월 수입 증가율 28.8%를 크게 웃돌 것으로 추산했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대비 5.4% 상승, 5월 4.9%를 상회할 것으로 삼성증권은 추정했다.
이 증권사 황금단 연구원은 "이번 주 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시장에 참여하기보다 국내외 변수를 지켜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유가도 최근 변동성이 확대된데다 국가별, 기업별로 에너지 전쟁이 가속화되고 있어 빠르게 안정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다.
황 연구원은 시장의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포트폴리오 운용에 있어 수익성보다 안정성을 강화하는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대안 종목으로는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 SK텔레콤, KT, 신세계, 강원랜드, 한샘 등 지수 민감도가 낮은 저베타 종목군과 KT&G, 세아베스틸, 현대제철, CJ제일제당, SK에너지, LIG손해보험, 현대해상 등 인플레이션에 살아남을 수 있는 종목, 은행주와 같은 밸류에이션 부담이 적고 추가하락 위험이 적은 종목을 꼽았다.
한경닷컴 문정현 기자 mjh@hankyung.com
1일 삼성증권은 "6월30일에 발표된 5월 산업생산의 경우 조업일수를 감안할 때 양호했으나 내수와 투자를 감안할 때는 부진했다"며 "1일 발표되는 6월 수출입 동향과 소비자물가 전망도 밝지 못하다"고 말했다.
6월 수출의 경우 전년대비 20.2%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는 5월(26.9%)에 비해 둔화되는 것인 반면 6월 수입은 전년대비 34.1% 증가하며 5월 수입 증가율 28.8%를 크게 웃돌 것으로 추산했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대비 5.4% 상승, 5월 4.9%를 상회할 것으로 삼성증권은 추정했다.
이 증권사 황금단 연구원은 "이번 주 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시장에 참여하기보다 국내외 변수를 지켜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유가도 최근 변동성이 확대된데다 국가별, 기업별로 에너지 전쟁이 가속화되고 있어 빠르게 안정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다.
황 연구원은 시장의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포트폴리오 운용에 있어 수익성보다 안정성을 강화하는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대안 종목으로는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 SK텔레콤, KT, 신세계, 강원랜드, 한샘 등 지수 민감도가 낮은 저베타 종목군과 KT&G, 세아베스틸, 현대제철, CJ제일제당, SK에너지, LIG손해보험, 현대해상 등 인플레이션에 살아남을 수 있는 종목, 은행주와 같은 밸류에이션 부담이 적고 추가하락 위험이 적은 종목을 꼽았다.
한경닷컴 문정현 기자 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