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간기업과 손잡고 2조원 규모의 글로벌 인프라 펀드를 만들어 국내 건설사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컨소시엄을 이룬 해외 건설 현장에서도 병역특례 산업기능요원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기획재정부와 국토해양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해외건설 지원 종합대책'을 확정,발표했다.

이 대책에 따르면 해외 건설시장 공략을 강화하기 위해 민.관이 함께 글로벌 인프라 펀드를 조성키로 했다.

이 펀드는 석유.광물 등이 풍부한 자원부국의 자원 개발과 인프라 건설을 패키지로 수주하는 중소기업에 대해 자금을 지원하게 된다.

펀드 조성 방식과 투자구조,투자 대상사업 선정기준 등 구체적 방안은 하반기 중에 마련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한 해외 건설 현장에는 병력특례 산업기능 요원이나 전문연구 요원(석.박사급)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병무청 지침을 바꿀 방침이다.

지금은 중소기업의 해외 건설 현장에서만 이들을 채용할 수 있다.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정부투자기관의 해외 진출 범위를 확대,동남아시아.아프리카.중앙아시아 국가들에 인프라 구축 경험을 전수하고 민간 기업의 수주를 지원키로 했다.

러시아 카자흐스탄 나이지리아 알제리 브라질 칠레 등을 중점 개척시장으로 신규 지정,각종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중동이나 동남아시아에 편중된 수주 시장을 다변화하기 위해서다.

수출입은행의 해외건설 분야 금융지원액을 올해 5조원에서 2010년까지 8조5000억원,2013년까지 13조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신용도가 낮은 중소 건설사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수출보험공사의 이행보증(입찰,계약이행)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2월 설립된 해외건설종합정보센터의 기능을 강화,정보수집 대상 국가를 49개국에서 60개국으로 늘리고 주요 진출 국가에 관한 리스크,조세,투자제약 등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해외건설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산.학협동을 통해 내년부터 연간 20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한국 기업의 해외건설 수주 실적은 2005년 109억달러,2006년 165억달러,2007년 398억달러로 급증했으며 올해는 500억달러로 예상되고 있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