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토론방 아고라를 운영하고 있는 다음커뮤니케이션이 오는 7일부터 토론자 관리를 대폭 강화한다.

아고라가 악플(악성 댓글)의 온상으로 변질되고 있는 데다 포털의 관리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여론에 대한 대응 조치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은 4일 홈페이지에 아고라에 글을 게시하는 이용자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인터넷 주소(IP)를 세 단위까지 공개한다는 등의 '아고라 토론방 개선 안내'를 띄웠다.

예컨대 '123.456.***.789'처럼 네개 단위로 구성된 IP 일부를 노출시키겠다는 얘기다.

현재는 로그인을 해서 들어온 이들에 한해 경찰의 요청에 따라 IP를 공개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강력한 사전 검열인 셈이다.

주민등록번호 등 본인임이 확인돼야 글을 쓸 수 있는 현행 본인확인제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조치다.

다음 관계자는 "'ㅋㅋ'처럼 토론 내용과 무관한 의미없는 글이나 욕설을 반복하는 스팸,유명 네티즌의 아이디를 사칭해 악용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포털 측의 이용자 모니터링 기준도 한층 강화한다.

하루(24시간) 동안 누적 게시글이 일정 수를 넘는 네티즌을 집중 관리키로 한 것.이들이 쓴 글을 최우선적으로 모니터링해 게시글 관리 원칙에 어긋날 땐 글쓰기를 제한하고,경고를 어길 경우 아이디를 정지시켜 토론방에서 퇴출시키기로 했다.

제재 내용은 해당 네티즌의 프로필(개인정보) 페이지에 올려져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특정 견해가 토론방을 지배한다는 지적에 따라 다음은 '실시간 논쟁글'을 신설하는 등 토론글 서비스 방법도 바꾸기로 했다.

'실시간 논쟁글'이란 찬반이 엇갈리는 사안에 대해선 양측의 주장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서비스다.

그러나 신문의 1면 톱 기사에 해당하는 '아고라 핫이슈'를 다음 측이 임의대로 선정하는 등 편집권은 그대로 행사하기로 했다.

다음의 이번 조치는 악플이 위험 수위를 넘고 있는 아고라를 방치하고 있다는 비판 여론을 일부 수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방송인 정선희씨와 아나운서 황정민씨가 촛불 시위를 폄하했다는 이유로,나경원 한나라당 의원은 포털의 관리 책임을 강화하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가 아고라 토론자들로부터 각종 욕설에 시달렸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