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의 '이자안전지대론 대출'은 최초 대출 시점보다 높은 금리를 부담하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인 상품이다.

변동금리 대출에 금리 상한선과 하한선을 둬 일정 범위 내에서만 대출이자를 부담하도록 설계했기 때문이다.

금리가 상승하더라도 이자율이 대출 시점보다 오르지 않는 반면 금리가 하락할 경우 이자율이 떨어진다.

최초 대출금리에 바로 캡(capㆍ상한선)을 씌워 고정금리의 단점을 보완하고 변동금리의 장점만을 살린 금융권 최초의 상품이라는 게 하나 측 설명이다.

예를 들어 현재 연 7%로 대출받을 경우 CD(양도성 예금증서) 금리가 상승하더라도 그대로 7%를 적용하며,CD 금리가 하락할 경우 하한선인 6%까지 떨어지도록 돼 있어 가입 시점보다 1%포인트까지 낮아지는 구조다.

기존 혼합금리형 대출상품은 최초 적용하는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높게 정해지고,향후 금리 하락시 별도로 변동금리로 변경 신청해야 하며,이 기간 높은 금리를 부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이 상품은 기존 고정금리 상품보다 낮은 변동금리를 적용하고 금리 하락시 자동으로 금리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 상품은 특히 최근 금리 상승으로 이자 부담이 큰 주택담보 대출자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담보 범위 내에서 금액의 제한이 없으며 대출기간도 △만기 일시대출은 3~10년까지 △원리금 분할상환 대출은 3~30년까지 가능하다.

단 금리 변동을 제한하는 금리 상한 보장 기간은 3년 또는 5년 중 고객이 선택할 수 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