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유가 시대에 에너지 수장은 '공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적격자가 없다'는 이유로 정부 산하 공공기관장에 대한 재공모가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다수의 기관장에 대한 공모가 동시에 이뤄져 인물난이 빚어진 것도 사실이지만 지원 자격에 대한 정부의 무원칙한 태도가 재공모 사태를 확산시키는 데 한몫하고 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지식경제부는 8일 한국전력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수출보험공사 등 산하 4대 공기업 기관장을 재공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전과 석유공사는 이날부터 지원자를 받기 시작했다.
가스공사와 수출보험공사는 이번 주 중에 재공모 일정을 확정할 방침이다.
이로써 지난달 9일 마감된 지경부 산하 5개 공기업의 사장 공모에선 KOTRA만 이르면 다음주 초 새로운 사장을 맞게 될 전망이다.
청와대는 조환익 전 수출보험공사 사장 등 복수의 최종후보에 대한 인사검증을 벌이고 있다.
금융위원회 산하 공기업들도 '적임자가 없다'는 이유로 재공모를 치른 사례가 적지 않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지난 4월 사장 공모를 했으나 지원자가 내부 출신에 국한돼 후보자 추천이 보류됐다.
이후 5월에 다시 재공모에 들어갔지만 지원자가 신통치 않자 두 곳의 헤드헌팅 업체를 통해 수소문까지 한 끝에 겨우 임원추천위를 꾸렸다.
추천위는 진병화 전 국제금융센터 소장, 임주재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등을 금융위에 최종 후보자로 추천했지만 아직 최종 낙점은 받지 못하고 있다.
기술보증기금 역시 지난 5월 실시한 이사장 공모에서 적임자를 찾지 못해 재공모에 나섰고 현재 막바지 인선 작업을 진행 중이다.
재공모가 속출하면서 부작용도 커지고 있다.
특히 석유공사 가스공사 등 자원 개발에 앞장서야 할 에너지 공기업들의 해외 신사업 개척은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A공기업 관계자는 "가뜩이나 경쟁국에 비해 해외 자원 개발이 뒤처진 상황에서 두 달이 넘도록 사장 자리가 비어 있으니 걱정이 클 수밖에 없다"면서 "CEO조차 못 뽑는 회사와 함께 자원 개발에 나서자고 제안할 파트너가 있겠느냐"고 말했다.
재공모가 순조롭게 이뤄지더라도 '적격'인 사람이 뽑힐지 의문이다.
이미 한국전력(19명) 석유공사(14명) 가스공사(21명) 수출보험공사(18명) 등에 지원했던 인사들은 재공모 대상에선 제외될 수밖에 없다.
정부의 공공기관장 일괄 사의 방침에 따라 사표를 내고 다시 도전했던 전직 사장들도 이미 줄줄이 낙마한 상황이어서 새로 재공모에 지원할 사람도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 공기업에 지원했던 K씨는 "재공모엔 청와대나 부처에서 확실한 언질을 받지 않은 사람이면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며 "아무래도 민간 출신보다는 첫 공모에서 자의반 타의반 지원하지 않았던 관료 출신들이 유리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실제로 관가에서는 이번 재공모에서는 장관이나 청와대가 사실상 낙점한 인사가 공모라는 형식을 거쳐 임명될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 공공연히 나오고 있다.
최근 청와대 참모진 개편과 부분 개각에서 나타난 것처럼 '관료 출신 중용 현상'이 공기업에도 적용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다.
류시훈/차기현 기자 bada@hankyung.com
다수의 기관장에 대한 공모가 동시에 이뤄져 인물난이 빚어진 것도 사실이지만 지원 자격에 대한 정부의 무원칙한 태도가 재공모 사태를 확산시키는 데 한몫하고 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지식경제부는 8일 한국전력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수출보험공사 등 산하 4대 공기업 기관장을 재공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전과 석유공사는 이날부터 지원자를 받기 시작했다.
가스공사와 수출보험공사는 이번 주 중에 재공모 일정을 확정할 방침이다.
이로써 지난달 9일 마감된 지경부 산하 5개 공기업의 사장 공모에선 KOTRA만 이르면 다음주 초 새로운 사장을 맞게 될 전망이다.
청와대는 조환익 전 수출보험공사 사장 등 복수의 최종후보에 대한 인사검증을 벌이고 있다.
금융위원회 산하 공기업들도 '적임자가 없다'는 이유로 재공모를 치른 사례가 적지 않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지난 4월 사장 공모를 했으나 지원자가 내부 출신에 국한돼 후보자 추천이 보류됐다.
이후 5월에 다시 재공모에 들어갔지만 지원자가 신통치 않자 두 곳의 헤드헌팅 업체를 통해 수소문까지 한 끝에 겨우 임원추천위를 꾸렸다.
추천위는 진병화 전 국제금융센터 소장, 임주재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등을 금융위에 최종 후보자로 추천했지만 아직 최종 낙점은 받지 못하고 있다.
기술보증기금 역시 지난 5월 실시한 이사장 공모에서 적임자를 찾지 못해 재공모에 나섰고 현재 막바지 인선 작업을 진행 중이다.
재공모가 속출하면서 부작용도 커지고 있다.
특히 석유공사 가스공사 등 자원 개발에 앞장서야 할 에너지 공기업들의 해외 신사업 개척은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A공기업 관계자는 "가뜩이나 경쟁국에 비해 해외 자원 개발이 뒤처진 상황에서 두 달이 넘도록 사장 자리가 비어 있으니 걱정이 클 수밖에 없다"면서 "CEO조차 못 뽑는 회사와 함께 자원 개발에 나서자고 제안할 파트너가 있겠느냐"고 말했다.
재공모가 순조롭게 이뤄지더라도 '적격'인 사람이 뽑힐지 의문이다.
이미 한국전력(19명) 석유공사(14명) 가스공사(21명) 수출보험공사(18명) 등에 지원했던 인사들은 재공모 대상에선 제외될 수밖에 없다.
정부의 공공기관장 일괄 사의 방침에 따라 사표를 내고 다시 도전했던 전직 사장들도 이미 줄줄이 낙마한 상황이어서 새로 재공모에 지원할 사람도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 공기업에 지원했던 K씨는 "재공모엔 청와대나 부처에서 확실한 언질을 받지 않은 사람이면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며 "아무래도 민간 출신보다는 첫 공모에서 자의반 타의반 지원하지 않았던 관료 출신들이 유리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실제로 관가에서는 이번 재공모에서는 장관이나 청와대가 사실상 낙점한 인사가 공모라는 형식을 거쳐 임명될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 공공연히 나오고 있다.
최근 청와대 참모진 개편과 부분 개각에서 나타난 것처럼 '관료 출신 중용 현상'이 공기업에도 적용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다.
류시훈/차기현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