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대통령 기록물 240만건중 새 정부서 인수한 것은 1만6천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참여정부에서 생산된 대통령 기록물 240만여건 중 새 정부가 인계받은 문건은 1만6000건에 불과하며 이 기록물 전량이 불법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 거주하는 봉하마을 사저로 불법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청와대 관계자는 8일 "참여정부 청와대가 2007년 5월11일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보고한 '기록이관,인계,퇴임 후 활용준비 현황보고'에 따르면 2006년 말까지 대통령 비서실에서 생산한 기록물은 총 1만1767철 240만여건에 이르고 있으나 현 청와대가 인수한 문건은 1만6000여건에 불과하다"며 "특히 인사파일 북핵문서 자료목록 등 국정운영의 필수자료가 누락된 점에 비추어 위 계획이 조직적으로 결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앞으로 국가기록원장을 통해 봉하마을 사저를 직접 방문해 원상 반환을 요청할 예정이다.
관계자는 "만약 전직 대통령의 회고록 집필을 위해 기록물 열람이 필요하다면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편의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
청와대 관계자는 8일 "참여정부 청와대가 2007년 5월11일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보고한 '기록이관,인계,퇴임 후 활용준비 현황보고'에 따르면 2006년 말까지 대통령 비서실에서 생산한 기록물은 총 1만1767철 240만여건에 이르고 있으나 현 청와대가 인수한 문건은 1만6000여건에 불과하다"며 "특히 인사파일 북핵문서 자료목록 등 국정운영의 필수자료가 누락된 점에 비추어 위 계획이 조직적으로 결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앞으로 국가기록원장을 통해 봉하마을 사저를 직접 방문해 원상 반환을 요청할 예정이다.
관계자는 "만약 전직 대통령의 회고록 집필을 위해 기록물 열람이 필요하다면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편의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