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노무현 전 대통령 측의 대통령 기록물 무단 반출 사건과 관련,관계자에 대한 검찰 고발 가능성까지 언급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섰다.

청와대 관계자는 8일 비공식 브리핑을 갖고 "대통령 기록물 무단 반출 사건에 대한 중간조사 결과 노 전 대통령 측이 올 1월18일 별도의 'e지원(e知園) 시스템'(청와대 온라인 업무관리 시스템)을 청와대가 아닌 외부 업체 명의로 주문 제작해 차명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시스템을 1월25일 청와대 내 관련 시설에 반입해 시스템 관계업체 직원들로 하여금 설치하게 한 후 2월14일부터 18일까지 참여정부 때 생산된 기록물 반출 작업을 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노 전 대통령 측은 2월18일 이후 이 시스템을 봉하마을 사저에 무단 설치하고 대통령 기록물 204만여건을 담은 하드디스크 원본도 그곳으로 옮겨 청와대와는 별도의 'e지원 시스템'을 운영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국가기록원에만 보관돼야 할 대통령 기록물이 사저로 유출된 것은 실정법 위반"이라며 "금주 중 국가기록원장을 통해 기록물 반환 요청을 할 계획이며 그 이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검찰 고발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봉하마을에서 분명 원본을 가져갔는데도 사본을 가져갔다고 하고,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역으로 청와대를 공격하고 있는데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4년간 204만건이면 연평균 50만건,하루 평균 1600건씩 자료를 만든 셈이며 이는 대통령 재임기간 중 취득할 수 있는 인사 북핵문서 무기거래 등 국정 운영에 관한 거의 모든 종류의 기록물이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이날 노 전 대통령 측이 작년 5월11일 작성한 것으로 돼 있는 '기록 이관,인계,퇴임 후 활용준비 현황보고' 자료도 공개했다.

한편 노 전 대통령 측 김경수 비서관은 "우리가 가져온 것은 명백히 사본으로,법에 보장된 전직 대통령의 열람권 보장에 대한 납득할 만한 대책을 제시하면 보관 기록을 즉시 반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며 "봉국가기록원 측이 확인하면 진실이 밝혀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