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를 비롯해 각종 원자재 가격 급등(急騰)으로 인플레 압력이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커지면서 우리 경제를 짓누르고 있다.

한국은행이 어제 발표한 6월중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10.5%를 기록했다.

외환위기 때인 98년 11월의 10.9% 이후 9년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세이고 보면 보통 심각한 상황이 아니다.

생산자물가 동향에서 특히 우려되는 부분은 단순히 상승률이 높다는 것 뿐 아니라 상승속도가 점점 더 가팔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3월 6.0%, 4월 7.6%, 5월 9.0%에 이어 6월에는 10%를 넘어서면서 두자릿수대에 진입했다.

이 같은 추세대로라면 두자릿수대 상승률이 지속되지 말란 법도 없다.

실제 물가 급등의 주범인 국제유가가 배럴당 200달러까지도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새롭지 않은 상황이고 보면 이 같은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한마디로 위기가 아닐 수 없다.

생산자물가 급등은 기업 채산성을 악화시키고 소비자 물가 역시 끌어 올린다는 점에서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입히게 되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물가상승을 고유가 및 원자재 가격 급등 등 외부여건 탓으로만 돌리고 속수무책으로 앉아서 당하고만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인 이유다.

그런 점에서 정부가 어제 '산업용 원자재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한 것은 원자재 부족과 가격 급등에 따른 생산차질이나 물가상승을 부분적으로나마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어느 정도 기대할 만하다.

특히 중소기업의 원자재구매 정책자금을 하반기에 추가로 1200억원 조성하는 등 관련 자금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정부의 원자재 비축 물량을 20일분에서 60일분으로 늘리기로 한 것은 원자재난에 다소 숨통을 터 줄 수 있는 조치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이들 대책 대부분이 시간이 지나야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이고 보면 여전히 미흡한 것도 사실이다.

무엇보다 중소기업의 경우 이미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하루하루를 견디기 어려운 상태인 만큼 정부는 이 같은 애로(隘路)를 덜기 위한 단기 대책도 함께 고민하지 않으면 안된다.

기업들 역시 스스로 이 난국을 극복하기 위해 생산성 향상 등 뼈를 깎는 노력을 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