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내주 강만수 장관 해임안 제출"‥ 與 "정치공세" 반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7ㆍ7 개각에서 유임된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의 해임 여부를 놓고 정치권의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민주당 등 야권은 "환율정책 실패에도 차관이 대리경질된 사태는 있을 수 없다"며 내주 중 해임건의안을 제출키로 방침을 정했다.
이에 한나라당은 "대안 없는 비판만 계속하는 건 부적절하다"며 반박했지만 당 내부에서도 강 장관 유임에 대한 비판 여론이 나오고 있어 논란은 쉽게 사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기획재정부 장관과 경찰청장,방송통신위원장을 빨리 교체하는 것이 좋다.
특히 기획재정부 장관에 대해서는 국민적 요구를 받들어 해임건의안을 준비,제출하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강만수 장관은 환율정책을 잘못한 구체적 실책이 있으며 경제기조를 잘못잡아 경제를 어렵게 만든 실책이 있는 데도 차관을 대리경질하는 이런 사태는 있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송영길 최고위원도 "소폭 개각을 두고 '소가 폭소할 개각'이라는 지적이 있다"며 "강만수팀에 대한 경질요구는 정치공세가 아니며 시장의 신뢰를 받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조윤선 한나라당 대변인은 "현재의 경제 난국이 강 장관을 경질한다고 해서 해소될 수 있는 것이 아님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라며 "대안을 제시해야 하는 게 제1야당의 본분인데 반대만 계속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같은당 공성진 의원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강 장관을 유임하고 최 차관만 경질한 건 국민들이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홍준표 원내대표는 국회 개원과 함께 16∼18일 진행되는 긴급현안질의 일정을 소개하면서 "기획재정부 장관도 혼날 준비를 하셔야 한다"고 말했다.
헌법 63조에 따르면 장관 해임 건의안은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 발의에 따라 재적의원 과반수 찬성(무기명 투표 방식)으로 통과되며 본회의 보고로부터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처리하지 않으면 자동 폐기된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
민주당 등 야권은 "환율정책 실패에도 차관이 대리경질된 사태는 있을 수 없다"며 내주 중 해임건의안을 제출키로 방침을 정했다.
이에 한나라당은 "대안 없는 비판만 계속하는 건 부적절하다"며 반박했지만 당 내부에서도 강 장관 유임에 대한 비판 여론이 나오고 있어 논란은 쉽게 사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기획재정부 장관과 경찰청장,방송통신위원장을 빨리 교체하는 것이 좋다.
특히 기획재정부 장관에 대해서는 국민적 요구를 받들어 해임건의안을 준비,제출하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강만수 장관은 환율정책을 잘못한 구체적 실책이 있으며 경제기조를 잘못잡아 경제를 어렵게 만든 실책이 있는 데도 차관을 대리경질하는 이런 사태는 있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송영길 최고위원도 "소폭 개각을 두고 '소가 폭소할 개각'이라는 지적이 있다"며 "강만수팀에 대한 경질요구는 정치공세가 아니며 시장의 신뢰를 받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조윤선 한나라당 대변인은 "현재의 경제 난국이 강 장관을 경질한다고 해서 해소될 수 있는 것이 아님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라며 "대안을 제시해야 하는 게 제1야당의 본분인데 반대만 계속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같은당 공성진 의원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강 장관을 유임하고 최 차관만 경질한 건 국민들이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홍준표 원내대표는 국회 개원과 함께 16∼18일 진행되는 긴급현안질의 일정을 소개하면서 "기획재정부 장관도 혼날 준비를 하셔야 한다"고 말했다.
헌법 63조에 따르면 장관 해임 건의안은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 발의에 따라 재적의원 과반수 찬성(무기명 투표 방식)으로 통과되며 본회의 보고로부터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처리하지 않으면 자동 폐기된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