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외국인 매도, ‘환율’이 부채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는 외국인 매도에 환율이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는 시각이 늘어나고 있다.
10일 부국증권의 임정현 애널리스트는 “국내 외국인투자자의 순매도 행진에는 美증시를 위시한 글로벌증시의 베어마켓(약세장) 진입,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의 이머징마켓 비중축소, 국내 기업들의 벨류에이션 매력 훼손 등 다양한 배경이 존재하겠지만, 환율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물가억제차원에서 하루 30억 달러에서 70억 달러 규모로 외환시장에 개입해 인위적으로 환율을 떨어뜨리려 하나, 인위적 조정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환율상승세(원화약세)를 막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다.
이런 상황 하에서 외국인투자자는 환차손을 줄이기 위해 보유비중을 낮출 수밖에 없으며 당연히 지금은 환차손을 감수하면서까지 순매수로 돌아설 까닭이 없다고 분석했다.
환율만 놓고 보면 적어도 1100원선을 넘어서야 외국인투자자들이 환차익 매력을 점차 느끼고 본격적인 순매수전환을 검토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하나대투증권의 서동필 애널리스트는 “외국인이 이머징 아시아 증시 전반을 매도중인데, 아시아국가들의 환율이 약세라는 공통점이 있다”고 봤다.
외국인의 주식매도가 각 국가들의 환율 약세를 부추겼는지를 확실치 않지만 적어도 환율약세와 외국인의 주식 매도 강도가 연관된 것은 분명하다는 설명이다.
서 애널리스트는 “불과 몇 달 전만해도 환율이 5원 이상 움직여야 급변동이었지만, 지금은 10원 움직이는 것이 예사로운 수준”이라고 전했다.
그는 “거시변수가 예측을 불허하면 증시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은 불안해지는 법”이라며 “환율이 이렇게 높은 변동성을 보인다면 투자자들은 경제 상황이나 금융시장에 대해 의심을 하게 되고 결국은 시장을 등지는 수준을 밟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수출이 중요한 우리나라는 환율 변동성이 높으면 기업의 이익도 불안정해지는데, 투자자들이 가장 싫어하는 것이 들쭉날쭉한 실적이라는 점에서 환율의 높은 변동성은 가뜩이나 분위기가 나쁜 글로벌 증시 상황과 맞물려 예상보다 더 큰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다.
한경닷컴 이혜경 기자 vixen@hankyung.com
10일 부국증권의 임정현 애널리스트는 “국내 외국인투자자의 순매도 행진에는 美증시를 위시한 글로벌증시의 베어마켓(약세장) 진입,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의 이머징마켓 비중축소, 국내 기업들의 벨류에이션 매력 훼손 등 다양한 배경이 존재하겠지만, 환율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물가억제차원에서 하루 30억 달러에서 70억 달러 규모로 외환시장에 개입해 인위적으로 환율을 떨어뜨리려 하나, 인위적 조정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환율상승세(원화약세)를 막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다.
이런 상황 하에서 외국인투자자는 환차손을 줄이기 위해 보유비중을 낮출 수밖에 없으며 당연히 지금은 환차손을 감수하면서까지 순매수로 돌아설 까닭이 없다고 분석했다.
환율만 놓고 보면 적어도 1100원선을 넘어서야 외국인투자자들이 환차익 매력을 점차 느끼고 본격적인 순매수전환을 검토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하나대투증권의 서동필 애널리스트는 “외국인이 이머징 아시아 증시 전반을 매도중인데, 아시아국가들의 환율이 약세라는 공통점이 있다”고 봤다.
외국인의 주식매도가 각 국가들의 환율 약세를 부추겼는지를 확실치 않지만 적어도 환율약세와 외국인의 주식 매도 강도가 연관된 것은 분명하다는 설명이다.
서 애널리스트는 “불과 몇 달 전만해도 환율이 5원 이상 움직여야 급변동이었지만, 지금은 10원 움직이는 것이 예사로운 수준”이라고 전했다.
그는 “거시변수가 예측을 불허하면 증시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은 불안해지는 법”이라며 “환율이 이렇게 높은 변동성을 보인다면 투자자들은 경제 상황이나 금융시장에 대해 의심을 하게 되고 결국은 시장을 등지는 수준을 밟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수출이 중요한 우리나라는 환율 변동성이 높으면 기업의 이익도 불안정해지는데, 투자자들이 가장 싫어하는 것이 들쭉날쭉한 실적이라는 점에서 환율의 높은 변동성은 가뜩이나 분위기가 나쁜 글로벌 증시 상황과 맞물려 예상보다 더 큰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다.
한경닷컴 이혜경 기자 vix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