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소비심리 '패닉' … 기대지수 86.8 급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가 급격히 둔화되는 가운데 물가는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가계의 소비심리가 '패닉 상태'로 빠져들고 있다. 6개월 뒤의 경제 여건에 대한 주관적 전망을 나타내는 소비자기대지수는 지난달 모든 소득계층과 연령대에서 일제히 하락하면서 86.8을 기록,기준치(100)를 한참 밑돌았다.
통계청은 '6월 소비자전망조사'에서 소비자기대지수가 전달에 비해 5.4포인트 떨어진 86.8로 나왔다고 10일 발표했다. 2004년 12월(86.5)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3월 99.7에서 4월 100.4로 반짝 상승세를 보였다가 5월 92.2로 급락한 뒤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소비자기대지수가 100 이하면 6개월 뒤의 경제가 지금보다 나빠질 것으로 보는 가구주가 그렇지 않은 가구주보다 더 많다는 뜻이다.
소비자기대지수는 전 소득계층과 전 연령대에서 모두 하락했고 또 기준치를 밑돌았다. 경기에 대한 기대지수가 69.9까지 떨어지면서 전체 지수 하락을 이끌었고,생활형편에 대한 기대지수는 5월 95.0에서 6월 89.9로 떨어졌다. 소비지출에 대한 기대지수는 한 달 사이 103.8에서 100.7까지 내려갔다.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의 경기,생활형편 등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소비자평가지수도 5월 72.2에서 지난달 61.3으로 11포인트나 급락했다.
현재 자산 가치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나타내는 자산평가지수는 △주식 및 채권(89.5→76.1) △주택 및 상가(101.3→99.1) △토지 및 임야(102.5→102.1) △금융·저축(96.0→93.3) 등 모든 부문이 하락했다. 김영노 통계청 분석통계팀장은 "평가지수와 기대지수가 동반급락했는데 그만큼 현재 경기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한편 기획재정부는 이날 발간한 경제동향 보고서(그린북)에서 "서민생활 안정 및 에너지 절약 노력 강화에 정책의 중심을 둬야 한다"고 밝혔다.
차기현 기자 khcha@hankyung.com
통계청은 '6월 소비자전망조사'에서 소비자기대지수가 전달에 비해 5.4포인트 떨어진 86.8로 나왔다고 10일 발표했다. 2004년 12월(86.5)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3월 99.7에서 4월 100.4로 반짝 상승세를 보였다가 5월 92.2로 급락한 뒤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소비자기대지수가 100 이하면 6개월 뒤의 경제가 지금보다 나빠질 것으로 보는 가구주가 그렇지 않은 가구주보다 더 많다는 뜻이다.
소비자기대지수는 전 소득계층과 전 연령대에서 모두 하락했고 또 기준치를 밑돌았다. 경기에 대한 기대지수가 69.9까지 떨어지면서 전체 지수 하락을 이끌었고,생활형편에 대한 기대지수는 5월 95.0에서 6월 89.9로 떨어졌다. 소비지출에 대한 기대지수는 한 달 사이 103.8에서 100.7까지 내려갔다.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의 경기,생활형편 등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소비자평가지수도 5월 72.2에서 지난달 61.3으로 11포인트나 급락했다.
현재 자산 가치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나타내는 자산평가지수는 △주식 및 채권(89.5→76.1) △주택 및 상가(101.3→99.1) △토지 및 임야(102.5→102.1) △금융·저축(96.0→93.3) 등 모든 부문이 하락했다. 김영노 통계청 분석통계팀장은 "평가지수와 기대지수가 동반급락했는데 그만큼 현재 경기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한편 기획재정부는 이날 발간한 경제동향 보고서(그린북)에서 "서민생활 안정 및 에너지 절약 노력 강화에 정책의 중심을 둬야 한다"고 밝혔다.
차기현 기자 kh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