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택지에선 분양가 상한제를 완화해 주겠다는 정부 방침이 정작 건설업체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건설사들은 땅값을 계산할 때 감정가가 아닌 실제 매입가를 반영해 줘도 실익이 없다는 반응이다. 완화 조치로 분양가가 올라가면 원가구조에 숨통이 트일 수 있지만 지금처럼 분양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선 '미분양'이란 역효과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규제완화가 먹히지 않는 '분양가 상한제 완화의 역설'인 셈이다.
◆규제완화 이후로 분양 연기 안해
국토해양부는 분양가 상한제 보완을 포함한 규제완화를 위해 오는 9월 열릴 정기국회 때 관련 법령을 개정한다는 방침이다. 규제완화에 대한 국회 내 이견이 있을 경우 10월로 법령 개정이 미뤄질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땅값을 실제 매입가로 인정해 달라고 요구해온 건설업체들로선 8~10월에 잡혀 있던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 물량을 10월 이후로 연기하는 게 상식적인 수순이다. 작년 12월부터 민간택지에 분양가 상한제가 확대 시행된다고 예고됐을 때도 건설사들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미리 11월 말까지 분양승인을 대거 신청했었다.
그러나 이번엔 사정이 다르다. 오는 8~10월 분양(민간택지 상한제 단지)을 앞두고 있는 건설업체들은 당초 계획대로 분양을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오는 10월 천안 두정동에서 분양을 앞둔 성우종합건설의 한 임원은 "분양가는 어차피 주변 아파트 시세를 보고 결정하기 때문에 택지비에 실제 매입가를 반영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같은 달 김포 고촌에서 3600여가구를 공급할 신동아건설 관계자도 "분양시장이 침체돼 있어 주변 아파트 시세와 비슷한 가격대로 분양가를 결정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오는 8월 고양시 행신동에서 타운하우스(102가구)를 공급하는 중흥건설 관계자는 "땅 매입가를 반영해 분양가를 올리면 시장에서 수요자들이 기대하는 가격대를 넘게 된다"며 "금리가 계속 올라가고 있어 사업을 빨리 진행하는 게 더 급하다"고 설명했다. 또 "지금 배고픈 사람에게는 기다렸다가 주는 밥보다 당장의 빵이 낫다"고 비유하기도 했다.
◆분양가 오히려 떨어질 수도
건설업체들이 이처럼 분양가 상한제 완화 시책에 시큰둥한 것은 △지난 8일 단품슬라이딩제 도입에 따른 기본형 건축비 인상과 △매입가 반영에 따른 분양가 하락 가능성 때문이다. 우남건설 관계자는 "오는 9월1일에는 기본형 건축비가 한 번 더 조정될 예정이어서 막연히 분양을 미루기보다 어느 정도 인상된 건축비를 적용해 분양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감정가로 땅값을 계산할 때는 시행사의 어려운 입장을 감정업체가 이해하고 감정가를 산정해 준 측면이 있었다"고 털어놓았다. 예를 들어 시행사가 지주들로부터 땅을 사들일 때 지주들의 양도소득세를 대납해 주는 경우가 있는데 감정가로 산정할 때는 이 부분을 감안해 주는 관행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매입가로 계산하게 되면 양도세 대납분은 매입가에 포함시킬 수 없어 오히려 분양가가 떨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건설사로선 큰 틀의 상한제를 폐지하거나 수요 진작을 위해 대출.세제규제를 완화해 주는 게 더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봄 이사철을 앞두고 새로운 전셋집을 알아보는 세입자가 적지 않다. 2년 전 계약할 때와 비교해 전셋값이 껑충 뛰었을 뿐만 아니라 전세대출 금리도 만만치 않아 전셋집 고민이 커진다. 전문가들은 서울 동대문구, 성북구 등 상반기 대단지 입주가 계획돼 있는 지역을 눈여겨보라고 조언한다. 일시에 공급이 쏟아지는 만큼 전셋값 하락을 기대할 수 있어서다. 공급 부족 여파로 중장기적으로 전셋값 오름세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파크포레온 전셋값, 8억원대로 내려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동대문구 아파트 전셋값은 누적 0.25%(지난 3일 기준) 떨어졌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낙폭이 가장 컸다. 연초부터 ‘입주장’이 펼쳐진 영향이 크다. 이문동에서 3069가구 규모의 ‘래미안라그란데’가 지난달 집들이를 시작했다. 오는 6월엔 인근에 있는 휘경동 ‘휘경자이디센시아’(1806가구)가 입주를 개시한다. 공급 과잉 속에 호가를 하향 조정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예컨대 래미안라그란데 전용면적 84㎡(23층) 집주인은 최근 전세 매물 가격을 기존 6억5000만원에서 6억1000만원으로 4000만원 내렸다.성동구(-0.19%)와 구로구(-0.14%), 관악·강동구(-0.09%) 등도 새해 들어 전셋값이 많이 빠졌다. ‘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1차’(825가구·성동구) ‘힐스테이트관악센트씨엘’(997가구·관악구) 등에서 최근 입주 물량이 늘어난 것과 무관치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강동구에선 작년 11월 1만2032가구 규모의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이 집들이한 여파가 아직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림픽파크포
배우 하지원이 5년 전 산 서울 성동구 성수동의 빌딩이 매입가 대비 41억원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9일 뉴스1에 따르면 빌딩로드부동산 중개법인은 하지원은 2020년 3월 성수동2가에 위치한 대지면적 258㎡(78평), 연면적 998㎡(302평), 지하 1층~지상 8층 규모의 빌딩을 가족법인인 해와달엔터테인먼 명의로 100억원에 사들였다.해당 건물은 2호선 성수역 4번 추구 도보 5분 거리에 있다. '핫 플레이스'로 꼽히는 성수동 연무장길 이면에 있어 풍부한 유동 인구를 자랑한다.매입 당시 건물은 준공된 지 3년 차 신축이었다. 채권 최고액은 90억원으로, 하지원은 75억가량을 '영끌'해 매수한 것으로 추정된다.이 건물의 현재 예상 시세는 141억원으로, 하지원은 약 41억원의 시세차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노선 북부 구간(파주 운정중앙역~서울역)이 개통한 지 한 달가량 지났지만 경기 파주시 운정중앙역 인근 부동산 시장은 거래가 뜸하다. 전반적인 수요 위축 속에 운정3지구 입주와 고양 킨텍스역(사진) 개발이 이어져야 시장이 활성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파주 목동동 ‘힐스테이트운정’ 전용면적 60㎡는 지난달 5억2900만원에 손바뀜했다. 이 단지는 운정중앙역 인근 대장 아파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지난해 8월 5억4500만원에 손바뀜했다.역 근처 다른 아파트값도 변동이 적다. ‘운정신도시센트럴푸르지오’ 전용 84㎡는 지난달 6억4900만원에 매매됐다. 같은 동의 직전 거래가는 6억7000만원이었다. GTX 개통 이후 오히려 집값이 내린 것이다. 동패동 ‘운정신도시아이파크’ 전용 59㎡는 지난해 5억9000만원까지 올랐지만 지난달 5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개통 이후 호가는 올라가고 있다. 이 아파트의 같은 면적 호가가 6억~6억4000만원대에 형성돼 있다.지난해부터 GTX 개통 기대가 집값에 반영된 데다 대출 규제 등으로 거래가 끊겨 집값이 단기간 상승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표찬 싸부원 대표는 “GTX-A노선 개통으로 파주 신축 아파트가 이미 3.3㎡당 2000만~2500만원 올라갔다”며 “철도는 개통 이후보다는 주로 예비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실시계획 승인 때 호재로 작용하는 측면이 크다”고 설명했다.운정중앙역 일대 아파트 입주가 마무리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동안 준공된 아파트는 대부분 역과 500m 이상 떨어져 있지만, 공사 중인 ‘운정3제일풍경채’ ‘우미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