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관련 강경대응‥ 정부, 日외무장관 회담제안 거절
정부가 중학교 교과서 해설지도서에 독도 영유권 명기를 강행한 일본에 대해 외교적인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아울러 북핵 6자회담에서 일본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한국의 협조를 구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권철현 주일 대사는 17일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일본은 즉각 해설서에 명기된 독도 표현을 취소하는 한편 향후 예정된 고등학생 교과서 해설서에 있어서도 성의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일본이 근본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한국의 대일 정책이 변화될 수 있으며 이번 문제는 일회성으로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권 대사의 일시 귀국이 과거와 같이 금방 끝나지 않을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장기적이고 치밀한 전략을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서울포럼 회원들과 오찬을 함께 한 자리에서 "우리가 일시적으로 흥분해 강경 대응을 하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며 "보다 장기적 안목에서 치밀하게 전략적 대응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맹형규 청와대 정무수석은 "일본이 사과하고 공식 조치를 취해야 권 대사가 귀임할 수 있다"고 못박았다. 권 대사는 일본의 독도 명기에 항의해 지난 15일 귀국했으나 일본 귀임 날짜는 미정이다.

정부는 일본이 제안한 한·일 외교장관 회담도 거절하는 한편 향후 예정된 한·일 외교 일정도 불투명해졌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문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ARF에서 한·일 외교장관 회담 계획이 없다"며 "일본의 제의에 대해 외교채널에서 결정을 내렸기에 자세하게 설명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권 대사는 "10월로 예정된 후쿠다 총리의 방한이 제대로 될 수 있을지 일본에서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다"며 "우리의 진정성에 일본이 이렇게 답했으니 모든 책임은 일본에 있다"고 강조했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