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테헤란로 삼화빌딩도 매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연금기금이 오피스빌딩 사냥에 본격 나섰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KB역삼빌딩 등을 사들이는 데 7000억원을 쏟아부은 데 이어 곧 삼성동 테헤란로의 삼화빌딩을 2500억원에 매입키로 했다.
20일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에 따르면 국민연금기금은 최근 대체투자위원회를 열고 전액 출자한 리츠(REITsㆍ부동산투자회사)인 '코크랩 NPS 1호'를 통해 삼화종합개발로부터 2500억원에 삼화빌딩을 사들이기로 결정했다.
강남구 삼성동 테헤란로 대로변에 있는 삼화빌딩은 대지면적 2660㎡(약 804평),연면적 4만480㎡(1만2245평)의 지상 20층,지하 7층 규모로 1995년 11월 준공됐다. 현재 오라클(38.7%)을 비롯해 로크웰(7%) ING생명(5%) 등이 입주해 임대율 100%를 기록하고 있다. 국민연금기금은 조만간 '코크랩 NPS 1호'(위탁운용사 코람코자산신탁)에 2500억원을 증자하고 삼화빌딩 매입 본계약을 맺을 계획이다.
국민연금기금은 2004년 말 데이콤빌딩을 매입하면서 부동산 시장에 발을 담근 데 이어 서울시티타워 시그마타워 내외빌딩 ING센터 등 주요 오피스빌딩들을 잇따라 사들여왔다. 올해도 KB역삼빌딩에 이어 테헤란로의 '알짜배기' 요지에 있는 삼화빌딩까지 매입하기로 하면서 업무용 빌딩 시장의 확실한 '큰손'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민연금기금의 오피스빌딩 등 부동산투자 규모는 2005년 말 2000억원에 불과하던 것이 2006년 말 5000억원에 이어 지난해 말에는 1조원으로 늘어났다. 올 들어서도 7000억원을 새로 투자해 매물로 나온 업무용 빌딩들이 싱가포르투자청 도이체방크 모건스탠리 등 외국자본에만 넘어가는 것을 막는 '첨병'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국민연금기금의 오피스빌딩 매입은 앞으로 더 활발해질 전망이다.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7조원인 대체투자 규모를 2009년 말까지 11조원으로 크게 확대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대체투자는 주식이나 채권 외에 사회기반시설(SOC) 인수·합병(M&A) 기업구조조정 사모펀드 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현대건설 하이닉스 우리금융지주 등 덩치가 큰 M&A 매물이 언제 시장에 나올지 알 수 없는 상황이어서 국민연금기금은 당분간 대체투자 등에 주력한다는 계획.특히 오피스빌딩은 외환 위기 때 외국계로 헐값에 팔려나간 것들이 몇 년 되지 않아 큰 차익을 남기는 것을 직접 확인한 만큼 '투자 1순위'로 정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기금운용본부의 김희석 대체투자실장은 "경기침체와 금리인상 등으로 올 하반기부터 부동산 가격 조정이 본격화되면 임대수익과 자산가치 상승을 함께 기대할 수 있는 업무용 빌딩 매입에 적극 나서겠다"며 "외환위기 때처럼 주요 빌딩들이 외국자본에 대거 넘어가는 일은 이제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
20일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에 따르면 국민연금기금은 최근 대체투자위원회를 열고 전액 출자한 리츠(REITsㆍ부동산투자회사)인 '코크랩 NPS 1호'를 통해 삼화종합개발로부터 2500억원에 삼화빌딩을 사들이기로 결정했다.
강남구 삼성동 테헤란로 대로변에 있는 삼화빌딩은 대지면적 2660㎡(약 804평),연면적 4만480㎡(1만2245평)의 지상 20층,지하 7층 규모로 1995년 11월 준공됐다. 현재 오라클(38.7%)을 비롯해 로크웰(7%) ING생명(5%) 등이 입주해 임대율 100%를 기록하고 있다. 국민연금기금은 조만간 '코크랩 NPS 1호'(위탁운용사 코람코자산신탁)에 2500억원을 증자하고 삼화빌딩 매입 본계약을 맺을 계획이다.
국민연금기금은 2004년 말 데이콤빌딩을 매입하면서 부동산 시장에 발을 담근 데 이어 서울시티타워 시그마타워 내외빌딩 ING센터 등 주요 오피스빌딩들을 잇따라 사들여왔다. 올해도 KB역삼빌딩에 이어 테헤란로의 '알짜배기' 요지에 있는 삼화빌딩까지 매입하기로 하면서 업무용 빌딩 시장의 확실한 '큰손'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민연금기금의 오피스빌딩 등 부동산투자 규모는 2005년 말 2000억원에 불과하던 것이 2006년 말 5000억원에 이어 지난해 말에는 1조원으로 늘어났다. 올 들어서도 7000억원을 새로 투자해 매물로 나온 업무용 빌딩들이 싱가포르투자청 도이체방크 모건스탠리 등 외국자본에만 넘어가는 것을 막는 '첨병'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국민연금기금의 오피스빌딩 매입은 앞으로 더 활발해질 전망이다.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7조원인 대체투자 규모를 2009년 말까지 11조원으로 크게 확대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대체투자는 주식이나 채권 외에 사회기반시설(SOC) 인수·합병(M&A) 기업구조조정 사모펀드 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현대건설 하이닉스 우리금융지주 등 덩치가 큰 M&A 매물이 언제 시장에 나올지 알 수 없는 상황이어서 국민연금기금은 당분간 대체투자 등에 주력한다는 계획.특히 오피스빌딩은 외환 위기 때 외국계로 헐값에 팔려나간 것들이 몇 년 되지 않아 큰 차익을 남기는 것을 직접 확인한 만큼 '투자 1순위'로 정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기금운용본부의 김희석 대체투자실장은 "경기침체와 금리인상 등으로 올 하반기부터 부동산 가격 조정이 본격화되면 임대수익과 자산가치 상승을 함께 기대할 수 있는 업무용 빌딩 매입에 적극 나서겠다"며 "외환위기 때처럼 주요 빌딩들이 외국자본에 대거 넘어가는 일은 이제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