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보장을 신청한 교수들을 최근 대거 탈락시킨 서울대가 이번엔 학교 교직원에 대한 구조조정에 나섰다. 조직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부적격자 퇴출 및 성과급제 도입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20일 서울대와 교육과학기술부 등에 따르면 서울대는 최근 교과부에 '행정 직원들을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정원 및 인사관리 권한을 총장에게 일부 위임해 달라'고 요청했다.

서울대는 '대학의 행정 직원 정원 및 인사관리 자율화 방안'이라는 건의문을 통해 "서울대 행정 직원들이 공무원으로서 과도하게 신분을 보장받고 있어 부적격자 퇴출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보수 수준도 획일적이어서 불합리한 경우가 많다"며 "교직원 정원과 인사관리권을 총장에게 위임해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해달라"고 밝혔다.

서울대는 "직원 퇴출이나 급여 체계를 차등화하기 어려워 현재 비정규직을 650명이나 고용하고 있다"고 고충을 털어왔다. 서울대는 현재 총 998명의 교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일반직 420명,별정직 15명,기능직 327명,기성회직 220명 등으로 구성돼 있다.

서울대 관계자는 "직원들의 인사 이동이 이뤄지면서 단계적으로 업무량과 업무 성과에 따라 급여 체계가 차등화될 것"이라며 "교수진 개혁에 이은 제2의 서울대 개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 건의안에 대해 교과부는 긍정적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공무원 신분인 행정직원을 해고하는 권한까지 주기는 어려우나 총액 인건비 내에서 직급ㆍ보수 등을 조정하는 것은 가능하다"며 "관련 조항 개정에 반영할 수 있을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