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연구원은 22일 내놓은 '최근 자본 이동의 특징과 시사점'이란 보고서에서 "1999~2003년에는 국제 자본의 국내 증시 유입이 늘어나면 주가가 즉각 상승했지만 최근 5년 동안에는 국내 증시 변화가 주식자금 수지의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환율의 경우도 과거에는 국제 금융자본이 증시에 유입되면 원화 절상(환율 하락)을 유발했지만 최근에는 환율 변화가 국제 금융자본 이동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1~2개월가량 시차를 두고 주식시장에서 국제 금융자본이 빠져나간다는 것이다.
이 연구소의 배민근 선임연구원은 이에 대해 "사모펀드 등 투기성이 강한 국제 금융자본이 조금이라도 높은 투자 수익률을 좇아 국경을 넘나들고 있기 때문"이라며 "국내 경제 상황이나 정책 변화가 시장의 불안정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LG연은 정부 정책 변화가 국제 자본의 움직임에 영향을 줘 금융시장을 요동치게 만든 대표적인 사례로 정부가 지난해 외국계 은행 국내 지점의 본.지점 차입에 대한 손비 인정 범위를 축소한 외화 차입 규제책을 꼽았다.
작년 11월께 글로벌 신용경색 위기가 부각되면서 시중금리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정부의 외화 차입 규제책이 시장 불안을 부추겼고 그 결과 외국인의 보유 채권 손절매를 야기해 금리 폭등(채권값 급락)을 불러왔다는 것이다.
배 연구원은 "국제 금융투자자본의 속성상 무위험 차익거래를 노린 투자자금의 대규모 이동 현상은 언제든지 재연될 수 있다"며 "국내 금융시장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이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정적인 거시 금융정책뿐 아니라 미시적 교정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