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증시 물량 압박 원인인 비유통주에 대해 매각 제한 등 더이상 특별한 대책을 세우지 않고 시장에 맡겨 처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제일재경일보는 중국 증권감독위원회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정부가 비유통주를 제한하는 정책을 더이상 내놓지 않을 것이라고 23일 보도했다. 증권감독위는 또 8월부터 비유통주 해제 물량을 매달 초순에 공개해 시장 투명성을 높이기로 했다.

이와 관련,중국 경제학자인 한즈궈는 "증권당국의 이 같은 입장 표명은 시장에 분명한 신호를 보낸 것"이며 "더이상 비유통주 대책을 기대하지 말라는 선언"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약 3700억주에 달하는 비유통주와 매각 제한에 묶여 있는 8000억주의 주식은 시장에서 소화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들 물량은 앞으로 최소 3년에서 5년간 시장에 흘러나올 것이며 이 기간에 중국 증시는 물량 압박에 시달릴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은 시장 안정을 위해 지난 4월20일 '비유통주 양도 지도의견'을 발표,상장 기업의 대주주가 1개월 내에 전체 발행 주식의 1% 이상의 비유통주를 처분하고자 할 때는 장외에서 블록딜(대량매매)을 통해 거래하도록 조치했다. 하지만 이 같은 비유통주 대책은 당시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일각에서는 비유통주 매각 제한이 실효성이 없다며 한층 강력한 매각 제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