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주인들은 부동산세 인하 추진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세금이 줄어들면 아무래도 거래가 활발해지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서울 강남권과 분당신도시 등 6억원 초과 9억원 이하 아파트 보유자들은 매물을 거둬들이는 사례도 일부에서 감지됐다. 심지어 매도호가를 높이기도 했다. 경기도 분당신도시 정자동 인근 A공인 대표는 24일 "한솔마을 LG아파트 125㎡형을 7억원에 내놓은 고객이 앞으로 내지 않아도 될 종합부동산세만큼 가격을 더 받겠다며 매도호가를 하루 만에 3000만원 올렸다"고 귀띔했다.

하지만 서울 서초구 반포동 B공인 관계자는 부동산 세부담 완화를 추진한다는 소식이 나왔지만 시장 반응은 전반적으로 냉랭하다고 전했다. 그는 "문의전화가 약간 늘었지만 대부분은 집주인들이 '매도가격을 올릴 수 있냐'는 내용이었다"고 전했다. 그는 "부동산가격이 오른다는 확신이 없는 상황에서 재산세를 조금 깎아준다고 집을 사려는 사람들이 얼마나 되겠냐"고 되물었다. 이런 수준의 세금 인하로는 수요를 유발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세금이 줄어드는 것은 틀림없는 호재지만 부동산 시장을 둘러싼 규제가 심한 상황에서 예전처럼 부동산가격이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현재 상황에서는 대출규제나 1가구2주택자의 양도세 중과가 풀리지 않는 한 아파트값 상승은 집주인들만의 바람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오히려 거래 공백을 걱정하는 목소리까지 나왔다. 송파구 잠실동 J공인 관계자는 "이명박 대통령 취임 초기에 취득세와 등록세를 내린다고 발표한 뒤 두세 달 동안 거래가 끊겼다"며 "이번에도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